외교부, 中에 ‘文 대통령 홍콩·신장 중국 내정 발언’ 바로잡는 입장 전달

입력 2019-12-29 19:09 수정 2019-12-29 19:56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23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정상회담 전 악수를 하고 있다. 뉴시스

외교부는 문재인 대통령이 한·중 정상회담에서 홍콩·신장 문제를 ‘중국의 내정’이라고 발언했다고 중국 측이 일방적으로 발표한 데 대해 이를 바로잡는 입장을 중국 정부에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중 간 진실공방이 격화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29일 외교부에 따르면 한국은 지난 27일 외교채널을 통해 당시 한·중 정상회담에서 문 대통령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홍콩·신장 관련 발언에 ‘잘 들었다’는 취지의 언급을 했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측 구체적 반응은 확인되지 않았다.

지난 23일 한·중·일 정상회의 계기에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 직후 중국 중앙(CC)TV는 회담 직후 문 대통령이 “한국은 홍콩 사무든 신장과 관련된 문제든 모두 중국의 내정이라고 인식한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인민일보도 발언 내용을 제목으로 달아 모바일 문자 속보로 전하는 등 중국 언론은 일제히 문 대통령의 관련 발언을 대대적으로 전했다. 격화된 홍콩 시위와 신장의 인권 문제로 국제사회로부터 거센 비판을 받아온 중국으로선 문 대통령의 발언은 환영할 만한 소식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직후 청와대는 중국 측 보도는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양국 정상회담에서 시 주석이 홍콩과 신장 위구르 자치구 문제는 중국 내정문제라고 얘기해 문 대통령이 시 주석의 언급을 잘 들었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을 뿐”이라고 설명하면서 중국 언론 보도들을 사실상 반박했다.

우리 외교당국이 공식적으로 문제제기에 나서면서 문 대통령의 발언을 놓고 한·중 간 진실공방이 격화되는 모양새다. 일각에서는 이번 진실공방이 한·중 정상회담을 계기로 마련된 양국 관계 회복 흐름에 자칫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다만 외교부는 “관련 사항에 대해선 외교 경로를 통해 중국 측과 필요한 소통이 이뤄졌고, 우리 입장과 발언 취지가 충분히 설명됐다”고 설명했다.

한·중은 정상회담을 통해 내년 상반기 중 시 주석의 한국 방문에 공감대를 형성하는 등 관계 정상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우리 정부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문제로 악화된 한·중 관계의 실질적 복원을 위해서는 시 주석의 방한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시 주석의 방한은 박근혜 대통령 재임 때인 2014년 7월 이후 한번도 없었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