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7개 시·도 중 부산과 서울 충북 세종의 지난해 일·생활 균형(워라밸) 지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는 29일 ‘2018년 기준 지역별 일·생활 균형 지수’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부산은 100점 만점에 57.5점으로 워라벨 지수가 가장 높았다. 이어 서울(57.1점), 충북(53.2점), 세종(51.9점), 전북(50.2점)이 그 뒤를 이었다. 특히 부산은 지난해 발표 때 2위였지만 이번에 서울을 제치고 1위로 올라섰다. 2017년 기준 일·생활 균형 지수에서는 서울(43.1점)이 가장 높았고 부산(39.5점)은 2위였다. 1년 만에 순위가 뒤바뀐 것이다.
최하위 그룹은 경남(44.7점), 제주(47.5점), 울산(47.9점) 등이었다. 특히 울산의 경우 2017년 조사 때는 4위였지만 불과 1년 만에 순위가 15위로 급전직하했다.
전국 평균 일·생활 균형 지수는 50.1점으로 2017년(37.1점)보다 큰 폭으로 상승했다. 작년 7월부터 300인 이상 사업장에서 주 52시간제 시행에 들어간 것이 지수 상승에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다.
김효순 고용부 고용지원정책관은 “지역별 일·생활 균형 지수는 지역의 일·생활 균형 수준을 가늠해 보고 앞으로 개선해야 할 분야를 파악할 수 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워라벨 지수는 고용부가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위탁해 일, 생활, 제도 및 지자체 관심도 등 4개 영역, 24개 지표에 대한 실태 조사를 통해 산출한 것으로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 발표다. 지수는 일, 생활, 제도, 지자체 관심도 등 4개 영역과 초과근로시간, 휴가 기간, 남성 가사 노동 비중, 육아휴직 사용 현황 등 24개 지표로 구성된다. 지역별로 일·생활 균형 추세를 분석해 2023년 추정치를 100점 만점으로 잡는다. 지수가 50.0점이면 2023년 일·생활 균형의 50% 수준에 도달했다는 얘기다. 부산은 지자체 관심도가 17.8점으로 전체 시·도 가운데 가장 높았다. 서울은 일(15.4점)과 제도(18.4점) 영역에서 1위였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