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신청사 후유증… 탈락 기초단체들 부지 개발 촉구

입력 2019-12-29 13:49 수정 2019-12-29 14:31
대구시 신청사 건립 예정지인 대구 달서구 두류정수장 모습. 대구시 제공

대구시 신청사 건립지가 기초단체들의 치열한 유치전 끝에 달서구로 결정이 나자 탈락 기초단체들이 출구전략 마련에 나서고 있다. 기초단체들은 신청사 건립 후보지였던 곳의 개발방안 마련을 대구시에 요구하며 탈락에 따른 충격을 줄이려고 애쓰고 있다.

29일 대구 중구에 따르면 류규하 중구청장은 최근 권영진 대구시장과 면담을 가진 뒤 현 대구시청사(중구)와 주변지역에 대한 개발방안 마련을 촉구하는 건의문을 전달했다.

2025년 시청 이전에 따른 도심공동화 심화와 상권침제를 우려하고 있는 중구는 대구시가 발표한 ‘동인동 시청사 후적지 및 주변 활용 방안’이 알맹이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류 구청장은 권 시장에게 ‘대구시민 모두가 수긍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명백한 후적지 개발계획 제시’ ‘중구민에게 현위치 타당성 사전 검토 없이 후보지 선정을 추진한 이유 해명’ ‘일방적인 것이 아닌 중구민의 의견을 수렴한 개발방안 제시’ 등을 요구했다.

배광식 북구청장도 지난 24일 대구시청을 찾아 기자간담회를 열고 옛 경북도청 터의 획기적인 개발을 촉구했다. 배 구청장은 “신청사건립추진공론화위원회 시민참여단 평가에서 경북도청 터 일대가 낙후됐다는 것을 다시 확인했다”며 “대구시는 도시철도 엑스코선을 반드시 성사시켜 지역 균형 발전을 이뤄야한다”고 요구했다. 또 경북도청 터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로드맵 제시도 촉구했다.

앞서 지난 9개월 동안 이어진 달서구 중구 북구 달성군의 유치전에서 북구가 가장 유리한 조건을 가진 곳으로 예상됐었다. 대구시 직원 절반이 이미 옛 경북도청 자리(별관)로 옮겨 근무하고 있었고 대구시가 경북도청 터를 더 선호한다는 소문도 있었다. 북구도 다른 지역과 달리 일찌감치 결정 승복 입장을 취해 북구 유력설이 나오기도 했다. 중구는 현 위치 사수를 외치며 적극적인 활동을 벌였고 이 때문에 가장 많은 벌점을 받기도 했다. 기초단체들이 행정력을 쏟아부으며 주민들의 기대를 최고조로 끌어올렸던 만큼 탈락에 따른 주민 충격과 부정 여론이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기초단체들이 충격 완화를 위해 후보지 개발 카드를 꺼낸 것이라는 의견이 나온다.

대구시는 당초 약속대로 탈락에 따른 반대급부는 없다는 입장을 취하면서도 대구지역 유휴지 개발에 지역의 의견을 반영하는 등 치밀하게 준비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한편 대구시 신청사건립추진공론화위원회는 250명의 시민참여단을 구성해 지난 20일부터 2박3일 동안 후보지들에 대한 합숙 평가를 실시한 후 달서구를 최종 건립지로 결정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