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청, 송병기 구속영장 신청에 ‘시정에 불똥 튈까’ 노심초사 울산 공직사회 ‘술렁’

입력 2019-12-29 12:11
검찰이 김기현 전 울산시장 측근 비리 의혹을 청와대에 처음 제보한 송병기(57) 울산시 경제부시장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하자 지역 공직사회가 술렁이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2부(부장 김태은)는 지난 26일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송 부시장의 구속영장 청구서를 법원에 접수했다. 송 부시장에 대한 구속여부는 오는 31일 결정된다. 송 부시장은 모든 일정을 취소하고 법원의 영장실질심사에 대비할 것으로 알려졌다.

29일 울산시 등에 따르면 시 공무원들은 송 부시장에 대한 검찰의 구속영장 청구 소식에 안타까움을 감추지 못했다. 당초 검찰의 수사 방향에 대해 예상은 했지만 막상 우려가 현실화되자 당황하는 분위기다.

한 시청 공무원은 “다들 입을 다문 채 일을 하고 있지만, 시정운영에 불똥이 튀지 않을까 걱정된다”며 “직원들도 일이 손에 잡히지 않는지 돌아가는 사정에 눈치만 살피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공무원은 “송청호 시장의 소환조사도 임박했다는 예측이 나오고 있자 당분간 검찰 수사가 어디까지 미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불안감을 감추지 못했다.

그동안 공무원 사이에서는 이번 사건이 송 부시장의 김 전 시장 측근 비리를 제보한 데서 시작한 것으로 여기면서 부정적인 시각도 적지 않았다.

일부 공무원은 “한때 같이 일한 동료 공무원들이 검찰에 불려 조사받으러 가는 상황까지 만들었으니 부시장에 대한 신뢰가 크게 떨어지는 거 같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번 사건으로 울산 시정도 얼어붙은 분위기다. 울산시는 최근 있었던 정기인사에서 대규모 인적 쇄신을 예고했지만 시정 공백이 현실화되고 있는 만큼 중폭 수준으로 단행했다.

공무원들은 송 부시장이 울산시 핵심사업을 주도하고 있는 만큼 만약 법원에서 송 부시장 영장이 발부된다면 상당한 시정 공백과 차질이 불가피할 것을 우려했다.

울산시 민선 7기는 경제부시장의 권한과 위상을 대폭 확대하는 비대칭 인사에서 출발한 데다 울산시 주요 현안 대부분이 송 부시장에게 쏠려 있었다.

시는 추락한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이른바 ’7개 성장 다리’를 추진하고 있는데 이중 태화강 국가정원을 뺀 나머지 6개를 송 부시장이 도맡고 있다.

시 간부공무원들은 이날 출근해 송 부시장 구속에 대비해 대책회의를 가졌으나 뚜렷한 방안은 마련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진사퇴든 시장의 결단이든 지난 2년 반의 ‘송·송(송철호·송병기) 커플’이 이제는 결별해야 한다는 의견도 수면 위로 오르고 있다. 정상적인 울산 시정을 위해서 어쩔 수 없는 수순이라는 의견이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