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자치단체장 예비후보의 후원회 설립을 전면 금지한 현행 정치자금법 조항이 헌법에 어긋난다는 헌법재판소 결정이 나왔다. 이재명 경기도지사 측은 이에 “헌법재판관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이 지사 측은 27일 “후원회 제도가 선거의 종류와 관계없이 공정하게 운용될 수 있도록 합당한 판단을 내려준 헌법재판관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 “헌재의 이번 결정으로 돈이 없어도 뜻이 있다면 누구든 지방선거에 출마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평가했다.
이어 “이를 계기로 우리 사회의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좋은 인재들이 정치에 활발하게 참여하는 기회가 많아지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헌재는 이 지사가 지난해 6·13 지방선거 경기도지사 예비후보였을 때 “도지사 예비후보의 후원회 설립과 선거비용 모금을 막는 것은 가난하면 정치를 하지 말라는 것과 다름없다. 청렴한 정치를 못 하게 막는 또 하나의 적폐다”고 주장하며 제기한 헌법소원에 재판관 8(헌법불합치)대 1(기각) 의견으로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다.
현행 정치자금법 6조는 대통령, 국회의원, 지방자치단체장 선거의 후보자가 후원회를 두고 선거비용을 모금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그러나 대통령, 국회의원 선거와 달리 광역 및 기초단체장, 지역교육감, 기초·광역의회 등 지방선거의 경우 예비후보 단계에서는 후원회를 허용하지 않는다.
이 지사는 지난해 해당 법조항에 대해 “지자체장 선거 예비후보자는 후원회를 둘 수 없게 해 어떠한 경우에도 정치자금을 기부 받을 수 없도록 함으로써 대통령·국회의원 선거 예비후보자에 비해 차별해 헌법상 평등권과 공무담임권을 침해한다”며 헌법소원을 냈다.
이에 헌재는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의 경우 국회의원 선거보다 지출하는 선거 비용의 규모가 매우 크고 후원회를 통해 선거자금을 마련할 필요성이 매우 크다”며 “이들이 후원회 제도를 활용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은 다양한 신진 정치세력의 진입을 막고 자유로운 경쟁을 통한 정치 발전을 가로막을 우려가 있다”고 판단했다.
그러면서 “정치자금법이 여러 차례 개정돼 후원회 지정권자의 범위가 지속적으로 확대됐음에도 국회의원 선거 예비후보자에 비해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예비후보자를 계속해서 달리 취급하는 것은 불합리한 차별에 해당한다”고 말했다. 다만 “2021년 12월 31일 시한으로 입법자가 개정할 때까지 이를 계속 적용하라”는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다.
헌법불합치란 해당 법령이 헌법에 위반되지만 단순 위헌 결정으로 즉각 효력을 중시시킬 경우 법적 공백과 혼란이 발생할 우려가 있을 때 헌법에 어긋남을 선언하되 개정할 때까지 한시적으로 효력을 존속시키는 결정을 말한다.
정진영 기자 yo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