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답지 않은 포근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겨울축제의 주 무대인 강이 얼지붙지 않아 강원도가 비상이다.
26일 아침 기온은 평년 최저기온보다 영서 지역은 대략 7∼10도, 영동지역은 5∼7도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강원도 춘천의 경우, 지난해 12월 26일 아침 최저기온은 영하 5.1도까지 떨어졌지만 이날은 0도에 그쳤다.
지난해보다 높은 기온으로 ‘화천산천어축제’는 다음 달 4일로 개막을 일주일 연기했다. 화천군이 축제 개막을 앞두고 수억원의 손해를 감수하고라도 연기 결정을 한 것은 안전 때문이다.
지난해 이맘때만 해도 축제장인 화천천의 얼음 두께가 20㎝ 이상 될 정도로 두터웠지만, 올해는 그 절반에 불과한 실정이다.
화천천은 주변 골짜기를 타고 찬 공기가 집중적으로 유입되는 ‘천혜의 냉동고’에다 얼음을 제대로 얼리는 축제 노하우도 있지만 치솟은 기온에는 역부족이었다. 산천어축제는 지난 2016년에도 축제 개막을 앞두고 폭우에 얼음이 녹아 일주일 연기된 바 있다.
최문순 화천군수는 “축제를 찾는 관광객 안전이 제일 중요한 만큼 혹시나 모를 가능성에 대비하고자 불가피하게 축제를 연기하게 됐다”고 말했다.
강원도 내 다른 겨울 축제도 잇따라 개막을 늦추는 상황이다. 올해 8회째를 맞는 홍천 ‘꽁꽁축제’는 주 무대인 홍천강 얼음이 얼지 않아 애초 개막일인 내년 1월 3일에서 10일로 1주일 연기했다. 이전 같으면 홍천강이 대부분 꽁꽁 얼었지만, 올해는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은 물론 얼지 않은 곳도 남아 있다. 간혹 얼어붙은 곳도 물속이 비칠 정도로 얼음 두께가 얇은 상황이다.
홍천군은 꽁꽁축제가 개막한 뒤에도 강이 얼지 않을 가능성에 대비해 얼지 않는 강 위에 부교를 설치하고 600명이 이상이 즐길 수 있는 구멍을 뚫은 인공 얼음낚시터를 만들기도 했다.
횡성의 한 스키장은 따뜻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인공눈 만들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눈 부족으로 전체 20개 슬로프 중 7개 슬로프만 운영하는 상황이다.
사정은 다른 스키장도 마찬가지다. 대부분의 스키장이 인공 눈으로 슬로프를 운영하지만, 전면 개장을 위해서는 추위와 눈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밖에도 해마다 겨울철 진풍경을 연출하는 평창과 인제 일대 덕장도 제때 황태를 내걸지 못하지 않을까 노심초사하는 등 강원도 곳곳이 이상기온 문제에 봉착해 있다.
다행히 기상청은 27일 오전부터 철원 영하 10도 등 기온이 내려가 평년기온을 보일 것으로 예상함에 따라 축제를 준비하는 도내 지자체가 큰 기대를 걸고 있다.
김영철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