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북한 비핵화 실천에 행동 대 행동으로 화답해야”

입력 2019-12-26 16:46 수정 2019-12-26 17:16

문재인 대통령은 26일 “북한이 진정성을 가지고 비핵화를 실천해 나간다면 국제사회도 이에 상응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며 “행동에 행동으로 화답해야 하고, 국제사회가 함께해야 할 때”라고 밝혔다. 이는 북한 비핵화와 체제 안전 보장을 담은 2018년 북·미 싱가포르 합의 사항이 동시적·병행적으로 진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그동안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가 전제돼야 제재 해제 등을 고려할 수 있다는 미국을 향해 보다 전향적인 태도를 취해줄 것을 촉구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프로젝트 신디케이트’에 ‘무수한 행동들이 만들어내는 평화-한반도 평화 구상’이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이같이 언급하면서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서는 더 많은 행동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프로젝트 신디케이트는 전 세계 157개국 508개 언론사를 회원으로 보유한 기고 전문 매체로, 문 대통령은 2017년 11월 아세안 방문 당시에도 이 매체에 글을 기고했었다.
문 대통령은 “평화는 혼자 이룰 수 없다”며 “우리 편을 일방적으로 응원하더라도 결국 상대를 인정하지 않으면 경기 자체가 있을 수 없는 축구 경기와 같다. 축구경기장의 시끌벅적함 속에 평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평화가 아무리 절실하다고 해도 한국이 마음대로 속도를 낼 수는 없다”며 “평화를 함께 만들어갈 상대와 국제질서가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북·미 실무협상과 3차 북·미 정상회담은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구축을 위한 전체 과정에서 가장 중대한 고비가 될 것”이라며 “그 어느 때보다 국제사회의 지지와 공동행동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9월 유엔총회 연설에서 제안했던 비무장지대(DMZ)의 국제평화지대화를 재차 거론했다. 문 대통령은 “국제사회가 비무장지대에 묻혀 있는 38만발의 지뢰를 함께 제거하고, 유엔 기구를 비롯해 국제기구가 비무장지대에 자리 잡게 된다면 한반도에서 안전보장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평화경제’의 중요성도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평화를 통해 한국이 가고자 하는 길은 궁극적으로 평화경제”라며 “남과 북 사이 끊긴 철길과 도로를 잇는 일은 동아시아의 평화와 번영을 선도하는, 교량국가로 가는 첫걸음”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23일 중국 청두에서 열린 리커창 중국 총리와의 회담에서도 “끊어진 남과 북의 철도와 도로가 완전히 이어지고, 한반도에서 중국, 유럽까지 그물망처럼 연결되는 유라시아 물류 혈맥의 완성은 다자평화안보체제로 발전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한편 문 대통령은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오늘 1725만번째 손님이 한국을 찾아주셨다. 외국인 관광객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며 “2020년 외국인 관광객 2000만명 시대를 열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특히 “역시 1위는 중국”이라며 “지난해보다 중국인 관광객이 무려 26% 늘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23일 중국에서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하고 내년 상반기에 시 주석 방한을 추진하는 등 한·중 관계 정상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문 대통령은 시 주석과의 회담에서 “2022년을 한·중 문화관광 교류의 해로 지정하고 내년부터 인적·문화교류를 더 촉진하자”는 제안을 하기도 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