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 일본이 미세먼지·전염병·지진을 공동 연구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6일 중국 과학기술부, 일본 문부과학성과 만난 ‘제4차 한·중·일 과학기술장관회의’에서 미세먼지·전염병·지진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 연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2011년 중단했던 ‘한·중·일 공동연구 협력 프로그램’을 재개하기로 했다.
우리나라는 두 나라와 함께 한·중·일 공동연구 협력 프로그램 재추진을 위해 실무 회의를 열고 세부사항을 조율할 계획이다.
한·중·일 과학기술 장관회의는 과학기술 분야 교류와 협력을 모색하기 위한 회의체다. 당초 2년에 한번씩 열기로 했으나 2012년 4월 중국에서 열린 회의를 마지막으로 7년 8개월간 열리지 않았다.
왕즈강 중국 과학기술부장이 한·중·일 정부가 함께하는 협력사업을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이에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정부, 기업, 대학, 연구소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는 협력사업은 3국 과학기술 분야 협력을 한 단계 격상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찬성했다.
한편 한일 양국은 과학기술장관 양자 회담을 개최하고, 과기정통부와 일본 문부과학성 간 국장급 정부 회의체를 운영하기로 했다. 한일 공동연구와 과학기술혁신 포럼에 대해서도 협의했다.
최희수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