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바닥 없는 저출산의 늪으로 빠져들고 있다. 10월 출생아 수가 또 역대 최소 기록을 세웠다. 43개월째 이어지는 흐름이다. 사망자 수는 역대 최대를 찍으면서 인구 자연증가(출생아-사망자)는 128명에 그쳤다. 곧 자연감소로 돌아설 수밖에 없다.
통계청은 26일 ‘10월 인구동향’을 발표하고 지난 10월 전국 출생아 수가 2만5648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826명(3.1%) 줄었다고 밝혔다. 10월 기준으로 보면 1981년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래 최소다. 출생아 수는 2016년 4월부터 ‘역대 최소 기록’을 갈아치우는 중이다.
올해 1∼10월 누적 출생아 수는 25만7965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2만789명(7.5%) 감소했다. 10월의 조출생률(인구 1000명당 연간 출생아 수)은 5.9명에 불과했다.
이처럼 출생아는 줄어드는 데 사망자가 늘고 있다. 10월 사망자 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510명(2.0%) 늘어난 2만5520명으로 집계됐다. 월별 통계를 작성한 1983년 이후 최대 규모다. 조사망률(인구 1000명당 연간 사망자 수)은 5.9명이었다.
인구 자연증가분은 128명, 자연증가율은 0%에 머물렀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인구 자연증가분은 10월 기준으로 역대 최소다. 인구는 곧 자연감소로 가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세종=전슬기 기자 sgj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