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내년 시진핑 방한 확정적”… ‘사드 냉각’ 한·중 해빙 맞나

입력 2019-12-25 16:53 수정 2019-12-25 18:25

청와대는 25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내년 상반기 방한이 거의 확정적”이라고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은 앞서 지난 23일 중국 베이징에서 한·중 정상회담 당시 시 주석에게 가급적 가까운 시일 내에 한국을 방문해 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시 주석의 방한 가능성에 대해 이같이 설명하면서 “리커창(李克强) 중국 국무원 총리의 경우에도 내년 한국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 참석 가능성을 크게 열어뒀다”고 전했다. 내년에 중국 최고 지도부가 연이어 방한할 가능성이 높아진 셈이다.

시 주석은 지난 2014년 7월 방한한 뒤로 현 정부에서는 아직 한국을 찾지 않았다. 중국은 2016년 미국이 한국에 사드(THAD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를 배치하자, 단체 관광 제한과 한류 제한에 나섰다. 시 주석과 리 총리가 릴레이로 방한할 경우, 사드 배치와 한한령(限韓令·한류 금지령) 문제로 얼어붙었던 양국 관계에 ‘해빙 분위기’가 찾아올 전망이다.

문 대통령은 회담에서 “2021년은 한국 방문의 해, 2022년은 중국 방문의 해다. 그리고 2022년은 양국 수교 30주년을 맞는 해”라며 “2022년을 한중 문화관광 교류의 해로 지정하고, 내년부터 인적‧문화적 교류를 더욱 촉진해 나가자”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시 주석도 “행사를 하겠다”라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는 강제 징용 배상 문제와 관련해 한국 정부가 대법원판결에 관여하지 못한다는 기존 입장을 강조하며, 조속한 문제 해결을 설득했다.

문 대통령은 “중요한 것은 해법을 찾는 일”이라며 “본질을 둘러싸고 논쟁하는 것은 문제를 더 어렵게 할 뿐이다. 해법을 찾도록 지혜를 모아 나가자”고 했다. 한국 대법원판결에 따라 피해자들이 내년 초 일본기업 자산 현금화 조치 등을 시작하면 사태가 더 악화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전에 해결책을 찾자는 것이다. 다만 이른바 ‘문희상안(한·일 양국 기업과 국민 성금으로 위자료 지급)’에 대해서는 전혀 논의되지 않았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한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관방장관은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 “양국 정상이 오랜만에 직접 마주 앉아 회담한 것은 유의미한 일이었다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정부 대변인인 스가 장관은 25일 정례 기자회견에서 “이번 정상회담에서 한·일 간의 최대 과제인 ‘구 조선반도 출신 노동자’(징용 피해자) 문제에 대해 아베 총리가 문 대통령에게 직접 조기 해결을 요청했다”며 “두 정상은 문제 해결을 위한 외교 당국 간 협의를 계속해 나가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