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경색 국면에도… 서울시민 10명 중 7명 “남북통일 필요”

입력 2019-12-25 11:15


남북관계가 경색 국면이지만 서울 시민 10명 중 7명은 남북통일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통일 예상시기는 20년 이내로 전망하는 이들이 가장 많았다. 하지만 통일로 가는 길목에서 남북관계 인식차이로 인한 우리나라 내부 갈등이 심각하다는 우려도 많았다.

서울시가 만 19세~69세 서울 시민 2000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3일까지 진행해 25일 발표한 ‘서울시민 남북교류협력 의식조사’에 따르면 74.2%가 통일이 필요하다고 답해 ‘통일이 필요하지 않다’(25.9%)는 응답을 크게 앞질렀다.

성별로는 남북통일 찬성 의견에서 남성(77.8%)이 여성(70.7%)보다 많았고, 연령별로는 40대의 통일 찬성 비율이 78.6%로 가장 높았고 20대가 66%로 가장 낮았다.

통일 예상시기에 대해서는 ‘20년 이내’(25.6%)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통일이 불가능하다’는 의견도 17.0%에 달했다. 통일 후 기대되는 사회문제 개선분야로는 경제성장률(35.4%)을 1순위로 꼽았고 이념갈등(31.3%), 실업률(18.8%) 등이 뒤를 이었다. 최근 저성장 늪에 빠져 있는 우리 경제에 통일이 새로운 도약의 기회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다만, 남북관계 인식 등을 보여주는 답변에는 현재의 불투명한 남북관계에 대한 시민들의 우려가 고스란히 반영됐다. 5년 이내 남북관계 전망을 묻는 질문에는 39.5%만이 ‘좋아질 것이다’라고 답했고 5년 이내 북한의 개혁·개방 가능성은 62.9%가 ‘낮다’고 응답했다. 향후 북한의 비핵화 가능성은 71.1%가 부정적으로 답했다. 이는 최근 북·미 비핵화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지고, 그로 인해 남북관계마저 악화된 상황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 남북교류협력사업에 대해선 응답자의 57.2%가 ‘알고 있다’고 응답해 지난해(43.8%) 보다 10% 이상 높아졌다. 또 시민의 64.9%는 정부와 별도로 서울시 차원의 남북교류협력 사업이 필요하다고 응답했고, 이런 노력이 남북관계 개선과 통일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견도 각각 58.1%, 57.2%로 높게 나타났다.

서울시가 가장 우선해야 할 남북교류협력사업으로는 ‘사회문화교류’(30.1%)가 꼽혔고 경제/산업(20.1%), 도시인프라(20.1%), 보건(14.7%) 등이 뒤를 이었다. 서울시 남북교류협력사업 추진에 가장 필요한 사항으로는 ‘시민의 지지와 공감대’(35.1%)가 가장 높았고 정부와 협력체계 구축(30%), 국제사회와 긴밀한 협조(13.8%)가 뒤따랐다.

정부와 서울시가 역점 추진중인 2032 서울-평양 하계 올림픽 공동개최에 대한 시민들의 반응은 대체로 긍정적이었다. 다만 ‘찬성한다’는 응답(61.8%)이 지난해(70.2%)에 비해 낮아졌다. 찬성의 주된 이유로는 사회문화 교류·협력이 활발해질 것 같아서(41%), 남북간 군사적 긴장해소(28.9%), 한반도 내 평화적인 분위기 조성(18.7%), 경제적 효과(11.3%) 순으로 집계됐다.

‘대북 인도지원’과 ‘남북관계 인식차이로 인한 남남갈등’에 대한 응답 결과도 눈길을 끌었다. 시민 56.6%가 정치·군사적 상황과 분리해 인도지원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답했으며 83.1%는 통일 및 남북관계 인식차이로 인한 우리나라 내부의 갈등이 심각하다고 우려했다.

황방열 남북협력추진단장은 “2020년은 대·내외 정세가 한층 불투명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서울시는 내년에도 남북교류 현안사업을 차근차근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