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민 강원 횡성소방서 방호구조과장
28년 전의 일이다. 대학 야구 동아리에서 경기를 마친 뒤 뒤풀이 장소로 이동하려는데 차에 자리가 부족했다.
농담반 진담반 “내가 트렁크에 탈까” 이야기를 꺼냈고 친구들은 신나게 웃으며 나를 트렁크에 태웠다.
‘쾅’하고 문이 닫히는 순간. 비좁고 어두운 트렁크 속에서 예기치 못한 죽음의 공포를 느꼈다.
아무것도 모르는 친구들은 차를 출발 시켰고 나는 트렁크 안에서 주먹이 피투성이가 되도록 두드리며 온 힘을 다해 살려 달라고 절규했다.
내 발로 걸어 들어간 트렁크 안이었는데 말이다.
그 후로 나는 긴 터널 안을 지나거나 비행기를 타야 할 때, 심지어 군대 훈련소에서 화생방 교육을 받지 못할 정도로 밀폐된 곳에서 어김없이 올라오는 공포를 느끼며 힘든 시간을 보내야만 했다.
나중에서야 이것이 바로 ‘폐쇄 공포증’이라는 일종의 공황장애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
초기 치료 골든타임을 놓친 이후 25년이 지난 최근에서야 문제해결 방법을 스스로 찾게 됐다.
그후 나는 내 문제 해결에 만족할 것이 아니라 지금도 참혹한 재난현장에서 각종 사고 장면을 목격하고 처리하는 과정에서 육체적, 정신적 아픔을 겪는 동료들이 치유되어 함께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앞으로 나의 삶을 그들을 위해 헌신하고 싶다는 마음을 갖게 됐다.
그리고도 이것이 어찌 소방공무원들 만의 문제이겠는가.
지난 19년간의 호스피스 봉사활동, 최근 북한이탈주민(자녀)과의 만남, 청소년 교사활동 등을 통해 여러 세대, 다양한 계층에서 많은 분들이 마음의 아픔들을 안고 살아가고 있다는 사실을 가까이서 볼 수 있었다.
나는 지금 내가 선택한 이 길이야말로 시대적 소명이라 생각하고 올해 감사하게도 심리상담사, 가정상담사, 외상 후 스트레스 상담사 3가지의 자격증을 취득했다.
현재는 근무처에서 어려움을 호소하는 직원들과 상담은 물론 화재로 피해를 입은 마을 주민들을 대상으로 화재재발 예방교육과 함께 재난심리치료까지 연계하는 ‘화재야 안녕’ 특수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지금 이 시간에도 대한민국 소방관들은 119 전화 한통에 절체절명의 요 구조자를 구하기 위해 자기 목숨을 담보로 쉼없이 재난현장으로 달려가고 있다.
오늘은 지옥과 같은 지하건물의 어둠속에서 화마와 싸워야 하고, 내일은 형체를 알아볼 수 없는 참혹한 사고현장에서, 그 다음 날은 또 어떤 재난현장이 나를 기다리고 있을지 모르기에 우리 소방관들은 한 순간도 긴장을 끈을 놓을 수가 없다.
그러나 소방관은 슈퍼맨이 아니다. 평범한 한 가정의 남편이자 아빠이고 부모의 아들이다. 그렇다면 우리 소방관들의 무너진 마음은 누가 보살펴 줄 것인가.
제 아무리 유능한 심리상담 전문가들이라 하더라도 소방관의 아픔을 경험해 보지는 못하였기에 한계가 있을 것이다.
결국 그들의 아픔과 고통을 함께 겪음으로 누구보다도 잘 이해하고 품어줄 수 있는 동료 소방관들이 그 문제해결의 중심에 서 있어야 한다는 결론이다.
2023년에 소방관들의 심신건강을 위해 ‘소방전문 복합치유센터’가 건립된다.
‘소방청 독립’과 ‘소방공무원 국가직화’의 상징적 의미는 ‘소방전문 복합치유센터’이다.
언제든지 편안히 쉬고 싶을 때 내 집처럼 드나들 수 있는 그런 치유센터를 전국의 5만 5000 소방공무원들이 지금부터 함께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현장 출동으로 인해 장애를 갖게 된 직원과 며칠 전 상담하는 도중에 “과장님. 저는 몸이 아픈 것 보다 마음이 더 아파요” 라고 눈물을 글썽이던 모습이 지금도 생생하다.
나의 지난날의 아픔이 ‘외상 후 성장’이라는 값진 선물이 되어 돌아왔듯, 고통 받고 있는 동료들의 마음을 치유하는 일에 나의 소명을 다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