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학생 진로체험 기관으로 정부 공식인증을 받은 사설학원 199곳을 전수조사하기로 했다. 이들 학원이 진로체험을 입시 마케팅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지적(국민일보 2019년 12월 24일자 12면 참조)에 대책 마련에 나선 것이다. 인증 심사도 강화해 진로체험을 입시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는 업체는 인증 대상에서 제외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24일 “교육기부 진로체험 프로그램 제공이 입시 마케팅 등에 활용될 수 있다는 우려를 감안해 199개 학원 전체에 대해 전수조사를 실시한다”며 “문제가 드러난 학원은 인증제 취지에 운영되도록 시정조치 하겠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전날 ‘2019년 제3차 교육기부 진로체험 인증기관’ 535곳을 발표하고 전국에 체험 기관이 2273곳으로 늘어났다고 밝혔다. 정부는 학생들이 직업 세계를 미리 체험하고 진로를 숙고하도록 양질의 체험기관을 인증하고 있다. 인증심사는 진로체험지원센터 서면·현장심사→권역별 인증심사→인증위원회 심사 등 3단계 심사를 거친다. 정부는 학교들이 인증된 기관에 학생을 보내 진로 체험을 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인증기관 중 199곳이 사설 학원으로 밝혀졌다. 예술·체육, 승무원, 간호, 요리 학원 등 다양한 학원들이 참여하고 있었다. 한 미술학원은 전국 유명 미대 수시합격자를 홍보하기도 했다. 한 실용음악학원은 관련 대학 학과 진학을 위한 ‘일대일 컨설팅’ 상품을 팔기도 했다.
교육부는 국어·영어·수학 학원의 경우 인증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었다. 진로체험이 마케팅에 활용될 우려를 고려한 것이다. 그러나 예체능이나 직업계열 학원도 입시 마케팅에 열을 올리는 점은 간과했다. 현재 항공기 승무원 학과나 보건 계열, 실용음악, 연기 관련 대학 학과는 치열한 경쟁을 뚫어야 하는 상황이다.
교육부는 “다양한 진로체험 수요를 충족시키려면 공공기관 뿐만 아니라 민간의 참여가 불가피하다”면서도 “현재 학원이 담당하는 진로체험 영역은 다른 기관을 통해서 제공할 수 있도록 진로 체험처 발굴에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