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24일 중국 쓰촨성 청두에서 리커창(李克强) 중국 국무원 총리,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제8차 한‧중‧일 정상회의를 열고 한반도 비핵화 문제 등을 논의했다. 세 정상은 올해 20주년을 맞은 3국 협력의 성과를 평가하고 향후 3국 협력 발전 방향과 한반도 문제를 포함한 국제 정세 등 상호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회의에서는 한·중·일 3국의 협력과 미래 비전을 담은 ‘향후 10년 3국 협력 비전’을 채택됐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두 세기성 국제회의센터에서 열린 한·중·일 정상회의 이후 공동언론발표에서 “리커창 총리와 아베 총리, 나는 20년간 발전한 양국협력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하고 국민들이 협력 성과를 체감하도록 실질 협력 수준을 한 단계 더 도약시키기로 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한·중·일 3국은 앞으로도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를 위해 긴밀한 소통 하기로 했다”며 “우리는 한반도의 평화가 3국의 공동 이익에 부합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고 북·미의 조속한 대화를 통해 비핵화가 실질 진전되도록 함께 노력키로 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또 3국 협력의 정례화에 의미를 부여하면서 4차 산업 혁명과 보호 무역주의 대응, 과학기술 협력을 통해 미래성장 동력을 함께 만들기로 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에 앞서 발언한 리 총리는 자유무역에 대해 수차례 강조했다. 리 총리는 “우리는 모두 자유무역과 경제 투자를 지지한다. 자유무역 수호는 다자주의 수호에 도움이 된다”며 “우리는 모두 다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협정을 지지한다. 우리는 또한 중·한·일 FTA 협상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리 총리는 “중국의 거대한 시장”을 언급하면서 “한국과 일본 기업들이 기회를 맞이할 뿐 아니라 그것이 가져온 일자리로 중국 국민이 더 많은 소비의 선택을 얻게 될 것이다. 중국의 서비스 산업도 자유 공평 공정의 환경 속에서 자신의 경쟁력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발언에 나선 아베 총리는 “북한에 대해 저는 잇따른 탄도미사일 발사가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며, 지역의 안전보장에 심각한 위협임을 말씀드린다”며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북·미 프로세스를 최대한 지원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를 위해 관련한 유엔 안보리 결의를 완전히 이행하고, 북·미 프로세스 동력을 유지하는 것이 일·중·한 3국의 공통된 입장임을 재확인했다”고 말했다. 한반도의 비핵화에 대해 한국·중국 정상과 뜻을 같이하면서도 탄도미사일 발사 등 북한의 위협도 부각한 것으로 해석된다.
3국 정상은 이번 정상회의가 2년 반 만에 개최된 지난해 제7차 한·중·일 정상회의에 이어 2년 연속으로 개최된 만큼, 3국 정상회의의 정례화를 위한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고 평가하고, 3국 협력을 안정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협력의 정례화‧제도화를 강화하기로 했다.
청두=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