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24일 중국 청두에서 열린 한·중·일 비즈니스 서밋에 참석해 자유무역질서 강화, 신산업 육성과 동북아 평화를 위한 협력을 역설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두 세기성 박람회장에서 열린 비즈니스 서밋에 리커창(李克强) 중국 국무원 총리,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함께 참석했다. 3국 정상 모두 ‘삼국지’를 언급하면서 3국 간의 협력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청두는 삼국지의 도시로 한국인들에게도 잘 알려져 있다. 한·중·일을 이어주는 수많은 연결고리 가운데 ‘삼국지’만한 것이 없을 것”이라며 “대의명분을 중요하게 여긴 유비의 덕치와 제갈량의 충의는 동양의 정신”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글로벌 저성장과 보호무역주의를 극복하자며 3가지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문 대통령은 우선 “자유무역질서를 강화하는 협력”을 강조하면서 “우리는 무역장벽을 낮추고 스스로를 혁신하며 세계 시장을 무대로 성장해왔다. 자유무역은 기업이 서로를 신뢰하고, 미래의 불확실성을 낮추는 안전장치”라고 말했다. 일본의 수출규제를 우회적으로 비판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문 대통령은 이어 “우리는 제조업 밸류체인을 형성해 경쟁력을 함께 높인 것처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하는 교류와 협력으로 신산업 육성에 함께할 수 있다”며 “거대 시장을 기반으로 첨단산업을 키우는 중국과 전통적인 기술혁신 강국 일본, 정보통신의 강국 한국이 힘을 합치면 제조업의 혁신뿐 아니라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헬스케어 같은 신산업에서 최적의 혁신 역량을 보유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마지막으로 ‘동북아 평화를 위한 협력’을 역설하며 “동북아에서 철도공동체를 시작으로 에너지공동체와 경제공동체, 평화안보체제를 이뤄낸다면 기업의 비즈니스 기회는 더욱 많아지고, 신실크로드와 북극항로를 개척해 진정으로 대륙과 해양의 네트워크 연결을 완성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리 총리도 청두가 삼국지연의에 나오는 촉나라의 수도였다는 점을 언급하며 “삼국지연의에서 나오는 서로 싸우고, 그런 방법을 이용할 생각이 없다. 삼국지연의에서 나오는 그런 지혜, 신의를 지키는 것은 우리는 함께 공유하려고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리 총리는 또 “자유무역을 함께 수호해야 한다. 자유무역을 수호하는 것은 우리의 각종 힘을 모아서 할 수 있다”며 한·중·일 FTA 구축을 요청했다.
아베 총리도 “오늘 이 자리에 있는 3국의 정상들은 삼국시대의 위·오·촉·한이 아니다. 따라서 서로 싸우는 관계는 아니다”며 “우리는 3국의 비즈니스 리더 여러분과 함께 우리 3국이 함께 협력하고 국제사회와 함께 발전하는 새로운 삼국시대를 이룩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중국의 개혁 개방 이래 일본은 일찍부터 이곳 청두시의 높은 가능성과 잠재력에 주목을 하여 적극적으로 투자를 해 왔다”며 “삼국시대의 영웅들이 활약하는 쓰촨성 청두시도 매력적이지만 물류 거점으로서도 현저한 발전을 하고 있는 지금의 청두시는 그 이상으로 일본 사람에게 매력적인 장소가 되었다”고 했다.
청두=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