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은 23일 정의당의 사흘 전 ‘돈 대주고 몸 대주는 속국’ 표현을 언급하며 “기득·수구정당 정의당 해체가 답”이라고 비판했다.
전희경 한국당 대변인은 이날 서면 논평에서 “국민의 비난이 쏟아지자 정의당은 뒤늦게 표현을 철회하며 ‘심 대표는 모르는 일이고 실무진의 실수’라고 변명했지만 막상 대표가 책임져야 할 일이 생기니 부하직원을 탓하는 것이 정의인가”라고 말했다.
전 대변인은 “정의당이 탓해야 할 것은 ‘문제의 표현’이 문제라고 인식조차 하지 못한 심 대표의 분별력 박약과 반미·반제에 목숨 거는 운동권 버릇을 못 버린 정의당의 구태 정신, 직원 탓이나 하는 무책임하고 불의한 비겁주의”라며 “80년대 어디쯤에서 멈춰버린 고인 물들의 변화 없는 독선과 아집, 위선과 기만에 대한민국은 멍들어 간다”고 말했다.
한국당 청년부대변인단도 논평에서 “한미동맹을 천박하게 표현한 심 대표는 정의당을 해산시키고 즉각 국회의원을 사퇴하라”며 “‘돈 대주고 몸 대주는’이라는 표현은 인간을 성적 도구화한 더럽고 천박한 표현”이라고 지적했다.
정의당은 지난 20일 당 공식 트위터에 “한미 방위비분담금 5차 협상에서 미국이 요구한 내용은 오만함과 무도함 그 자체”라며 “한국은 미국의 패권을 위해 돈 대주고 몸 대주는 속국이 아니다. 동맹국에 대한 협력과 상생의 도를 지켜주시기 바란다”고 썼다가 논란이 일자 삭제했다.
해당 글은 심상정 대표의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법 즉각 통과 정의당 비상행동’ 농성의 서면 버전 메시지로도 배포됐다. 심 대표는 현장에서 “자료로 대체하겠다”고만 말하고 실제 발언은 하지 않았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