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전국에 흩어져 있는 일제의 조선인 강제동원 명부를 통합해 온라인 공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은 2023년까지 다양한 기관에서 분산 보관하고 있는 강제동원 명부를 ‘강제동원 명부 통합 데이터베이스(가칭)’로 통합할 계획이라고 23일 밝혔다. 국가기록원은 명부 소장 기관과 관련 전문가를 모은 협의체와 자문단을 구성할 방침이다.
현재 명부는 국가기록원,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 국사편찬위원회 등에서 보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접근성이 떨어지고 통일된 정보 제공이 어렵다. 개인 피해현황 규명과 활발한 학술연구 지원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첫해(2020년)에는 약 9억원의 예산을 들여 노무자 1종, 군인․군속 1종의 명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예정이다. 노무자는 ‘조선인 노동자에 관한 조사결과(6만9766명)’, 군인․군속은 ‘유수명부(16만148명)’에 기재된 인원이다.
‘조선인노동자에 관한 조사 결과’는 일본기업에 동원된 조선인이 수록돼 있는 명부를 말한다. 일본 지역과, 기업별로 나뉘어 등재돼 있다. 명부 세부항목은 입소경로별, 이름, 생년월일, 본적, 직종, 입소연월일, 퇴소연월일, 미불금 등으로 총 15권 분량이다. ‘유수명부’는 원 소속 부대에서 전쟁터 등으로 파견된 부대원의 명단으로 총 114권 분량의 문서를 뜻한다.
국가기록원은 단계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마치면 대국민 자료제공 서비스, 명부 관련 기획전시, 추진성과를 종합한 국제심포지엄개최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소연 국가기록원장은 “현재 일제 강제동원 조선인 명부 검색서비스는 성명, 생년월일, 사망여부 등 최소 항목만 제공하는 한계가 있다”며 “다양한 정보항목이 담긴 통합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면 피해자 규모, 강제성 등을 밝히는 후속 연구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