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이 주체가 되어 프로그램을 직접 기획하고 참여하는 서울시 소통문화의 중심 ‘시민청’이 성북구, 송파구, 강서구, 금천구에 추가로 조성된다. 이에 따라 서울시내 시민청은 총 6개로 늘어난다.
서울시는 신청사 지하 ‘시민청’(도심권)과 삼각산시민청(동북권)과 함께 권역별 ‘지역 시민청’을 골고루 조성해 부족한 문화시설을 확충하고 시민들의 이용 접근성을 강화하겠다고 23일 밝혔다. 시는 추가로 조성되는 4곳의 대상 부지 선정을 마쳤다.
신규 조성되는 권역별 시민청 4곳의 건립 대상지는 성북구 하월곡동 거주자우선주차장 부지(동북권), 송파구 문정컬쳐밸리 부지(동남권), 강서구 마곡지구 내 부지(서남권), 금천구 모두의학교(서남권) 부지다.
성북구 하월곡동 부지는 현재 거주자우선주차장으로 쓰이고 있는 1595㎡ 규모로 자유로운 공간 구성과 활용이 기대된다. 약 200m 거리에 지하철 6호선 월곡역이 있어 접근성이 좋다. 성북구가 부지를 무상 제공하기로 해 사업비가 절감되고 신속하게 사업이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송파구 부지는 문정도시개발구역 내 위치한 유휴공간으로, 면적은 2862㎡ 이상이다. 지하철 8호선 문정역과 직접 연결돼 접근성이 뛰어나고 문정지구 내 다양한 시설들과 연계 활용이 가능하다. 이곳 역시 송파구가 부지를 무상 제공하기로 해 사업비가 절감되고 신속한 사업추진이 기대된다.
강서구 부지는 마곡도시개발구역 내 편익용지로 6709㎡ 규모다. 마곡지구부터 인근 방화뉴타운까지 잠재 이용인구가 많을 것으로 예상돼 대상지로 선정됐다. 부지가 넓어 시민청과 함께 다양한 복합시설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금천구 부지는 모두의학교 운동장 내 1691㎡ 규모다. 금천구가 문화시설이 부족한 지역 중 하나인 점이 고려됐다. 기존 모두의학교 시설과 프로그램을 연계해 조성하면 시너지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각 권역별 시민청의 규모, 소요 예산, 공간 구성, 건립 기간 등은 타당성 조사 연구용역을 통해 최종 확정된다. 시는 내년 3월에 연구용역을 일제히 진행해 8월까지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이어 용역 결과를 토대로 조성지별로 여건에 맞는 기본조성계획을 수립하고, 투자심사와 예산반영 등을 거쳐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
아울러 시는 지역문화 수요에 비해 공간이 협소했던 기존 ‘삼각산시민청(540㎡)’도 연구용역을 통해 공간 확충 방안을 수립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권역별로 추가 조성되는 ‘지역 시민청’은 인근 주민들이 부담 없이 즐기며 서울시와 시민, 시민과 시민을 소통과 문화로 연결하는 거점역할을 할 것”이라며 “시민청이 각 지역의 성공적인 시민참여 공간 모델로 자리매김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