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성평등지수 소폭 상승… “여성 사회참여 여전히 낮아”

입력 2019-12-23 12:56
연합뉴스

작년 국가 성평등지수가 소폭 올랐다고 23일 여성가족부가 발표했다.

여가부에 따르면 2018년 기준 국가 성평등지수는 전년도보다 1.2점 오른 72.9점이었다. 지역 성평등지수도 같은 기간 1.3점 상승한 75.7점으로 나타났다. 두 지수 모두 측정 결과가 공표된 2015년부터 매년 상승세를 이어갔다.

국가성평등지수는 남녀 격차를 측정하는 지수로, 남성 수준 대비 여성의 상황을 볼 수 있다. 사회참여(경제활동·의사결정·교육훈련), 인권·복지(복지·보건·안전), 의식·문화(가족·문화정보) 등 3개 영역 8개 세부 분야로 나눠 측정한다. 완전한 성 평등 상태는 100점, 그 반대는 0점이다.

연합뉴스

영역별로 점수를 보면, 인권·복지 영역이 80.0점으로 성 평등 수준이 가장 높았다. 의식·문화 75.2점, 사회참여 영역 66.6점 순이었다.

8개 세부 분야 모두 지난 조사 때보다 점수가 올랐다. 보건 분야가 97.3점으로 가장 높았고, 의사결정은 전년도 대비 1.8점 올랐지만 지수는 31.1점에 그쳐 8개 분야 중 가장 낮았다.

8개 분야를 구성하는 25개 지표 중에서 육아휴직 성비(6.3점↑), 관리자 성비(3.6점↑), 직업교육 훈련 경험 성비(2.9점↑)의 성평등 지수는 전반적으로 올랐다.

전국 16개 지역 성 평등 수준을 상위·중상위·중하위·하위 등 4단계로 나눠 분석한 결과 대구·대전·부산·제주 등 4곳이 상위, 경남·경북·전남·충남 등 4곳이 하위 지역으로 나타났다.

이건정 여가부 여성정책국장은 “성평등지수를 발표한 이래 육아휴직 성비 등 성평등 수준은 점차 개선되고 있으나, 국회의원이나 4급 이상 공무원, 관리자 등 ‘의사결정’ 분야는 개선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