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벌없는사회를 위한 시민모임은 광주 모 고등학교 소속 교사 A씨가 시중에 판매되는 문제집에서 시험문제를 그대로 베낀 것으로 드러났다고 23일 밝혔다. 올해 1학기 중간고사는 문제집 숫자를 응용하는 수준이었으나 1학기 기말고사와 2학기 중간고사에서는 대다수 문제를 수정 없이 그대로 베껴 쓴 것으로 조사됐다는 것이다.
일부 학생들이 문제를 제기한 뒤 학교 측은 2학기 기말고사 종료 후 앞서 치른 세 번의 시험에 대해 모두 재시험을 보기로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남 모 여고에서는 한국사 교사 B씨가 특정 반 학생들에게만 시험문제에 대한 힌트를 준 것으로 밝혀져 논란이 일었다. 올해 2학기 기말고사 실시 전 1학년 6~10반 학생들에게만 서술형·객관식 문제에 힌트를 줬고, 같은 학년 1~5반 학생은 시험을 치른 뒤 이 같은 사실을 알게 됐다.
학벌없는 사회는 “시·도 교육청은 문제가 제기된 두 학교에 대한 실태 파악에 나선 뒤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고 학업관리지침에 따른 지도점검을 강화해달라”고 요구했다. 또 교육부를 향해서는 내신 완전절대평가 등 평가 혁신을 위한 정책을 마련을 촉구했다.
교육부가 국회 교육위원회에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고교 재시험은 2017년 2539건에서 이듬해 1880건으로 줄었지만 올해에는 1학기에만 2021건으로 늘었다.
광주·전남은 지난해 각각 150건과 70건에 이어 올 1학기에는 광주 122건, 전남 100건에 달했다. 한 학기 만에 지난해 연간 재시험 건수를 넘어섰다. 2017년에도 광주 223건, 전남 79건으로 300건을 넘어선 바 있다.
재시험의 상당수는 복수 정답이나 정답이 없는 경우, 참고서 문항 전재 등이 원인이었다. 그러나 사전 유출 의혹과 문제지 또는 답안지 분실, 엉뚱한 시험지 배포 등 관리 문제로 인한 재시험도 적지 않았다.
재시험이 증가한 배경에는 숙명여고 사태 등으로 내신에 대한 불신이 증폭되면서 일선 학교에서 성적관리를 대폭 강화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김영철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