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도교육청 미래인재육성 ‘동상이몽’

입력 2019-12-23 11:29 수정 2019-12-23 12:51

충북도와 도교육청이 지난해 12월부터 협의하고 있는 미래인재육성 방안을 놓고 여전히 서로 다른 행보를 걷고 있다.

도는 충북으로 이전한 기관·기업 직원 자녀의 고교 입학 특례 제도화를 추진한다는 이른바 ‘제한적 전국모집 학교’를 고수하고 있는 반면 도교육청은 도에 교육사업에 대한 행·재정적 지원을 요구하고 있다.

김병우 교육감은 23일 기자회견을 갖고 미래인재육성 모델을 발표했다. 김 교육감은 “학교의 교육력을 높이고 무엇보다 아이들 하나하나의 가치를 드높일 수 있는 학교를 만들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견을 모았다”며 “미래학교 모델은 학교 설립 취지와 철학을 살리고 지역의 여건과 학교의 특성을 반영해야한다”고 밝혔다.

김 교육감은 “일반고, 외고, 체고, 과학고, 예술고, 특성화고, 미래형 대안학교, 영재교육 8개 영역에서 모든 아이들의 성장을 도와주며 강한 학교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미래인제육성 모델을 마련했다”며 “미래인재를 키워가는 것은 한 아이도 포기하지 않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김 교육감은 “미래를 향한 인재육성, 희망을 일구는 교육사업에 충북도의 협력과 성원을 기대한다”며 “아이들 하나하나를 보살피고 성장시키는 일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전했다.

김 교육감은 이날 과학고 AI 기반 영재학교 전환 지원, 영재교육지원센터 설립 지원, 인재양성재단의 교육사업 확대 등을 충북도에 제안했다.

그는 “도가 영재 학교 전환에 따른 시설비와 기자재비, 운영비, 장학금 등을 연차적으로 지원해주길 바란다”며 “영재교육을 체계적으로 기획, 지원할 수 있는 충북도 영재교육 기관 설립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역의 인재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인재양성재단 운영이 미래지향적 교육사업으로 변해야한다”며 “인재양성재단이 단순히 개인을 지원하는 것으로 한정 짓지 말고 지원대상을 확대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충북도 관계자는 “과학고의 확대 이전 및 영재학교 전환, 영재교육지원센터 설립은 도교육청이 자체적으로 추진해야 할 사항”이라며 “그동안 도교육청과 협의 과정에서 교육 사업에 대한 예산 지원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열악한 재정여건상 영재교육기관 등에 대한 예산지원은 수긍할 수 없다”고 말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