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강제징용 해법 문희상안, 한 달새 부정여론 10%↑

입력 2019-12-23 10:32
문희상 국회의장. 연합뉴스

국민 10명 중 5명이 문희상 국회의장이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 해법으로 내놓은 ‘1+1+α(알파)’안에 대해 반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달 같은 조사에서 이른바 ‘문희상 안’에 반대한 국민은 10명 중 4명이었다. 한 달 새 부정 여론이 크게 증가한 것이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는 지난 20일 CBS 의뢰로 전국 19세 이상 성인 502명을 대상으로 벌인 ‘일제 강제동원 갈등해법, 문희상안에 대한 국민여론 2차 조사’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문희상 안’의 핵심은 한·일 기업 및 국민이 자발적으로 마련한 기부금으로 강제징용 피해자에게 위자료를 지급하자는 것이다.

응답자의 53.8%는 이번 조사에서 일본의 사죄와 법적 책임성이 분명하지 않다는 이유로 ‘문희상 안’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반면 응답자의 26.0%는 일본의 수용 가능성이 있고 현실성이 있다는 이유로 ‘문희상 안’에 찬성했다. 모름/무응답은 20.2%를 기록했다.


앞서 리얼미터는 지난달 29일 YTN 의뢰를 받아 같은 주제로 1차 조사를 진행했다. 당시 응답자의 44.4%가 ‘문희상 안’에 반대했다. 응답자의 32.6%는 ‘문희상 안’에 찬성했다. 2차 조사 결과, 1차 조사보다 반대 응답률은 9.4%포인트 증가한 반면 찬성 응답률은 6.6%포인트 감소했다.

국민일보가 리얼미터에 의뢰해 19세 이상 성인 1003명을 대상으로 지난 5~7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응답자의 43.5%는 ‘문희상 안’에 대해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 방안이 일본 전범 기업에 배상 명령을 내린 지난해 한국 대법원판결을 이행하는 것과 거리가 있으며 일본 정부와 기업의 사죄를 면제해준다는 이유였다.

박준규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