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이재오 상임고문, 홍준표 전 대표 등 비박계 인사들이 ‘문재인 정권 심판’을 목적으로 ‘국민통합연대’를 결성한다. 보수 인사들이 대거 참여하는 만큼 향후 야권 재편 과정에서 정치 세력화의 거점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국민통합연대 준비위원장을 맡은 이 상임고문은 22일 “국민 갈등과 분열을 통합하고 정치판을 객토해 새판을 만들고 오만방자한 현 문재인 정권을 심판하기 위한 목적으로 국민통합연대를 창립한다”고 취지를 밝혔다. 공동대표는 송복 연세대 명예교수, 김진홍 목사, 최병국 전 의원, 권영빈 전 중앙일보 사장, 이문열 작가 등 5명이 맡기로 했다. 홍 전 대표와 안상수 전 한나라당 대표, 권경석·안경률·전여옥·진수희·현경병 전 의원 등이 창립 구성원에 포함됐고, 박관용 전 국회의장, 노재봉 전 국무총리 등도 원로자문단에 합류했다.
이들은 23일 프레스센터에서 여는 창립대회에서 “박근혜 정권의 탄핵으로 보수는 궤멸했고, 이 나라에는 참으로 해괴한 정권이 들어섰다. 절체절명의 위태한 나라가 됐다”며 “무능하고 오만하고 정의와 공정을 팽개친, 기만에 가득 찬 정권을 끝장내기 위해 모든 분야에서 모든 일을 혁명적으로 전개하고자 한다”는 내용의 창립선언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결의문에서는 “국민 승리의 목표는 기성 정치인들의 기득권을 유지하는 데 있지 않는다는 것을 분명히 한다”고 밝히면서 기성 정당정치와 선을 그었다.
보수 통합 논의가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원로 정치인들이 구심점이 된 단체가 만들어진 만큼 총선을 앞두고 새로운 정치 지형도가 만들어질지 관심이 쏠린다. 당초 한국당과 유승민 의원 등은 통합 논의를 진행했지만,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했다. 유 의원은 바른미래당 비당권파 의원들과 새로운보수당을 만들고 내년 1월 창당을 공식화했다. 국회 안에서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골자로 한 공직선거법 개정안 논의가 속도를 내지 못하면서 보수 통합 논의도 물밑으로 가라앉은 상황이라, 내년 총선이 임박해서야 보수 야권의 실질적 통합 논의가 진행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