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메이저리그에 로봇 심판이 5년내 도입될 전망이다.
AP통신은 메이저리그 심판들이 22일(한국시간) 발표된 5년 기한의 노사합의 내용 중 하나로 메이저리그 사무국의 ‘자동 볼-스트라이크 시스템(Automated ball-strike system)’ 개발과 실험에 협조하는 데 동의했다고 전했다.
메이저리그 심판협회는 롭 만프레드 커미셔너가 빅리그에서 ‘자동 볼-스트라이크 시스템’을 사용하기로 결정한다면 역시 협력하고 지원하기로 뜻을 모았다.
자동 볼-스트라이크 시스템은 컴퓨터가 스트라이크와 볼을 판정하는 것으로 ‘로봇 심판’을 의미한다. 메이저리그 심판들이 로봇 심판에 전향적인 태도를 보임에 따라 빅리그 도입 시점도 앞당겨질 것으로 예상된다.
자동 볼-스트라이크 시스템은 야구장에 설치된 레이더가 투수의 공 궤적을 쫓고, 컴퓨터가 스트라이크와 볼을 판정한 뒤 휴대전화로 홈 플레이트 뒤에 서 있는 인간 심판에게 전달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메이저리그 사무국은 제휴 협약을 한 독립리그 애틀랜틱리그에서 올해 하반기에 로봇 심판을 본격 테스트했다. 장차 메이저리그 간판선수로 성장할 마이너리그 유망주들도 애리조나 가을 교육리그에서 로봇 심판을 경험했다.
AP통신에 따르면, 메이저리그 사무국은 내년에 마이너리그 싱글A 플로리다주 리그에서 로봇 심판을 적용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교육리그, 싱글A 등 상위 리그로 점차 적용 범위를 확대하겠다는 취지로 예정대로라면 2021년쯤 마이너리그 트리플A에서도 로봇 심판이 등장하게 된다.
마이너리그의 최상위 레벨인 트리플A에서도 로봇 심판의 오류가 발견되지 않으면, 메이저리그 사무국은 이후 적절한 시점에 로봇 심판을 메이저리그에 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로봇 심판은 스트라이크 존을 상하좌우 4구역으로 분류할 때 좌우에 걸친 스트라이크는 비교적 정확하게 잡아낸다. 그러나 변화구 낙폭으로 결정되는 상하의 정확성은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로봇 심판이 메이저리그에 도입되더라도 인간 심판은 고유의 업무를 이어간다. 컴퓨터가 잡아내지 못하는 스트라이크와 타자들의 체크 스윙 판정, 세이프와 아웃 선언은 인간 심판의 몫이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