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용석 변호사가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가로세로연구소’가 추측성 폭로 남발로 역풍을 맞고 있다.
최근 가로세로연구소(가세연)는 가수 김건모의 유흥업소 성폭행 의혹을 제기했다. 이후 또 다른 피해 주장 여성이나 목격자의 인터뷰를 이어왔다. 비판의 목소리는 이 과정에서 커지기 시작했다. 폭로 과정에서 나오는 발언과 해석들이 지나치게 노골적이고 선정적이라는 지적이 나온 것이다.
가세연을 향한 비판이 최고조에 달한 건 지난 18일 ‘충격단독, 또 다른 연예인 성추문 고발’이라는 제목의 영상을 올리면서부터다. 가세연은 해당 연예인의 실명은 공개하지 않았지만 몇 가지 키워드를 제시해 시청자들이 유추하도록 했다. 당시 방송을 진행한 강 변호사와 김용호·김세의 전 기자는 ‘김건모와 친하다’ ‘매우 유명하다’ ‘MBC 예능프로그램 무한도전에 나왔다’ ‘바른 생활 이미지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유흥업소에서 일한 여성의 음성 녹취를 공개했다.
그러자 다수의 인터넷 포털사이트에는 국민 MC 유재석의 이름이 실시간 검색어에 올랐다. 무한도전에 출연했으며, 바른 생활 이미지를 가졌다는 점에서 일부 네티즌들이 유재석을 거론한 것이다. 결국 유재석 측은 19일 서울 여의도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의혹을 직접 부인했다. 이에 대중들은 가세연의 확증 없는 ‘아니면 말고 식’ 폭로를 비판하고 나섰다.
그러나 가세연은 멈추지 않았다. 같은 날 오후 ‘충격, 유재석 첫 단독기자회견 이유’라는 영상을 게시해 또 다른 의혹을 제기했다. 이들은 “(앞서 폭로한 해당 연예인은) 무한도전 고정멤버가 아닌 게스트로 출연했던 사람”이라고 바로 잡으면서도 이날 있었던 유재석의 기자간담회를 문제 삼았다. 자신들의 폭로를 의식해 긴급 기자회견을 열었을 거라는 주장이다. 그러면서 “김태호 PD가 급했을 것”이라고 덧붙이기까지 했다.
강 변호사는 “우리가 언제 유재석 이야기를 했습니까? ‘무한도전’에 너무 연연하지 말라고 했는데 유재석이 나서서 이거(기자간담회)로 기사를 다 덮어버렸다”며 오히려 황당해 했다. 이어 “왜 엉뚱하게 기자회견을 했느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들의 주장과는 다르게 이날 있었던 유재석의 기자간담회는 가세연 방송보다 앞선 지난 17일 이미 예정돼 있었다. 이 행사는 신인 트로트가수 유산슬 열풍을 불러온 MBC 예능프로그램 ‘놀면 뭐하니’ 음악프로젝트 ‘뽕포유’ 녹화의 일환이었다. 김태호 PD가 유재석 몰래 마련한 자리로, 이곳에 참석한 기자들 역시 며칠 전 제작진으로부터 ‘엠바고’(보도유예) 요청을 받은 상태였다.
가세연은 이같은 사실을 모른 채 같은 방송에서 ‘김PD의 뒷돈 거래 의혹’ ‘유재석의 주가조작 의혹’ 등을 제기했다. 또 유재석이 지난 6·13 지방선거 당시 투표장에 파란색 옷을 입고 왔다는 이유로 ‘좌편향적 인물’이라고 몰아세우기도 했다. 김PD가 ‘무한도전’을 그만둔 이유에 대해서는 “최승호 MBC 사장이 더 이상 비자금을 못 준다고 했기 때문”이라는 근거 없는 말도 했다.
끝 모르는 가세연의 폭로에 20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이들의 방송중단을 촉구하는 청원이 다수 등장했다. 한 청원자는 “지속적으로 선정적인 내용을 이슈화하면서 논란을 만들고 있다”며 “국민의 알권리를 충족시키기 위함보다 유튜브 조회수를 늘려 돈을 벌 목적이라고 생각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유튜브가 개인 방송이라고는 하지만 지나치게 선정적인 내용을 다루거나 정확하지 않은 내용을 다뤄 개인의 인권에 문제를 준다면 제재를 하는 것이 맞다”고 강조했다.
‘가로세로연구소의 방송을 못하게 막아주세요’라는 제목으로 글을 쓴 또 다른 청원인은 “아무 증거도 없이 사람을 매도하고 있다”며 “아니면 말고 식의 이런 터무니없는 방송은 이제 정부 차원에서 금지해주셨으면 한다”고 했다. 이 청원들은 20일 오후 5시10분 기준 각각 5535명, 1621명의 동의를 얻었다.
문지연 기자 jy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