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 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선거 농단’, ‘감찰 농단’, ‘금융 농단’ 등 3대 게이트가 샅샅이 밝혀지면 이 정권은 더 버티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조국 사태와 거의 유사한 느낌을 받고 있다”며 “특히 하명 수사로 우리 당 후보를 음해해 떨어뜨린 선거 농단 게이트는 대통령이 친구에게 출마하라고 했고, 청와대가 나서서 경선 경쟁자에게 자리를 주겠다며 후보 매수 공작까지 벌인 것으로 드러났다”고 말했다.
황 대표는 “이런 국정농단을 덮으려는 게 우리가 막으려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법이고, 정권의 방탄 부대 공수처를 만들겠다고 좌파 군소정당과 야합해 추진하는 게 바로 공직선거법”이라고 했다. 이어 “우리가 선거법을 막아내면 공수처법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황 대표는 앞서 국회에서 전국 17개 시·도당위원장들과 간담회를 열었다. 그는 “총선이 118일 남았다. 짧은 기간인 만큼 지금부터라도 철저히 준비를 시작해야 한다”고 ‘군기’를 잡았다.
그는 “국민이 원하고 지역에 필요한 맞춤형 공약을 만드는 일에 무엇보다 주력해주길 바란다”며 “홍보 논리를 정확하고 빠르게 전파할 수 있는 촘촘한 조직, 시·도당 당직자는 물론 모든 소속 당원들이 한마음으로 선거를 치를 수 있는 끈끈한 조직을 만들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여러분은 17개 전장의 전투를 지휘하는 사령관”이라며 “우리 모두 압승의 그 날만 생각하면서 말 그대로 몸이 부서져라 함께 뛰자”고 독려했다.
황 대표의 발언은 ‘강경투쟁’에 대한 당내 반발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농성과 장외집회 등 대여(對與) 투쟁이 강경 일변도라는 지적이 당내에서 제기됐다. ‘태극기부대’와 결합하는 방식으로는 중도층을 사로잡을 수 없다는 우려도 나왔다. 누적된 피로감도 상당하다.
실제 한국당은 이날 ‘공수처법·선거법 날치기 저지 규탄대회’를 장외가 아닌 국회 본청 앞에서 개최했다. 21일 울산에서 열리는 장외집회에 황 대표는 참석하지 않는다. 내주 집회 여부는 미정이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