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거 확인 위해 관련 보도 질의하니 “수사 중이라 말 못해”
법조계 “검찰 ‘입’ 막아 오보 대응도 못하게 해놓고 이제와서 허위 보도 많다니 황당”
청와대는 19일 ‘송병기 울산시 경제부시장으로부터 받은 제보 문건에 새 비위 의혹을 추가해 경찰에 이첩했다’는 일부 보도 내용에 대해 “허위조작 보도”라고 반박했다. 다만 청와대 또한 명확한 근거 없이 언론 보도를 ‘허위’라고 깎아내리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서면 브리핑을 통해 “조선일보는 17일 청와대가 송 부시장으로부터 받은 제보 문건에 새로운 비위 의혹을 추가해 경찰청에 보냈다는 의혹 보도를 했다”며 “전혀 사실이 아닌 허위 조작 보도”라고 했다.
윤 수석은 “이 신문은 또 청와대가 경찰청에 이첩한 첩보 문건에 김 전 시장의 비위 의혹별로 접촉해야 할 인사들의 이름을 적은 것을 검찰이 확인했다고 보도했다”며 “이 역시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어 “다시 한번 밝히지만 청와대는 제보 내용에 새로운 비위 내용을 추가하지 않았다”며 “그럼에도 조선일보의 허위 보도를 다른 언론들이 베껴서 보도하며 의혹을 확산시키고 있다”고 덧붙였다.
청와대는 지난 7일에도 언론 보도에 대해 유감 표명을 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청와대 행정관이 제보에 없는 내용을 첩보에 추가했다는 보도에 “누가 이런 거짓 주장을 퍼뜨리는가. 행정관은 제보를 요약·정리했을 뿐 추가로 의혹을 덧붙이지 않았다”고 밝힌 바 있다.
윤 수석은 서면 브리핑에서 “어제와 오늘도 방송·신문에서 계속 보도가 이어지고 있다”며 “이미 여러 차례 청와대가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음에도 터무니없는 보도가 끊이지 않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근거를 제시하고 보도해주시기 바라고, 근거가 없으면 검찰 수사 결과를 보고 보도해주실 것을 부탁드린다”고 했다.
다만 청와대 주장도 근거가 없는 것은 마찬가지라는 지적이 나온다. 청와대는 지난 15일 자신들이 직접 확인을 했다며 “‘유재수, 윤건영, 김경수, 천경득 등 4명이 텔레그램 단체 대화방에서 금융위원회 고위급 인사를 논의했다’는 보도는 사실이 아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검찰은 “수사를 통해 확인된 사실 관계를 알지 못하는 당사자들의 일방 주장을 발표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사실상 청와대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는 것이다. 한 법조계 관계자는 “윤건영, 김경수, 천경득이 ‘텔레그램에서 인사를 논의했다’고 청와대에 시인을 하겠느냐”며 “유재수 비리도 수사권이 없어서 확인할 수가 없었다는 청와대가 무슨 근거로 언론 보도를 허위라고 하는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검사장 출신 변호사는 “이제까지 드러난 것으로만 보면 청와대의 인사 검증, 내부 감찰 능력은 0점”이라며 “조국 비리도 결국 언론이 밝혀낸 것 아니냐”고 비판했다. 이어 “지금 법무부가 ‘개혁안’이라고 만든 형사사건 공개금지 규정 때문에 검찰이 적극적으로 오보 대응을 못하고 있는 것 아니냐”며 “검찰이 그간 언론에 사건을 제한적으로 설명해주며 과도한 오보를 방지해 왔는데 지금 그것을 못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청와대가 불리한 것에는 답하지 않는 등 선택적으로 여론전을 펼친다는 비판도 있다. 청와대는 임동호 더불어민주당 전 최고위원의 울산시장 선거 경선을 포기시키기 위해 공기업 사장 자리를 제안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이날 침묵했다. 임 전 최고위원은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송철호 울산시장의 당내 경선 경쟁자였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수사 중인 사안이므로 청와대가 입장을 밝히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답했다. 야권 관계자는 “유재수, 김기현 관련 의혹 보도를 국민소통수석이 직접 나서 사사건건 부인하더니 이번에는 또 수사 중이라고 입장을 밝히지 않는다고 한다. 황당하다”고 말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