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일제 강점기 ‘일본군 70명당 1명의 위안부가 필요하다’는 내용의 외교 기밀문서가 존재한다고 인정했다.
교도통신은 지난 6일 일본 정부가 위안부 제도에 관여했음을 뒷받침하는 공문서가 추가로 발견됐다며 이 문서의 존재를 처음으로 보도했다.
해당 문서는 1938년 6월 29일 중국 칭다오의 일본 총영사가 본국의 외무대신 앞으로 보낸 외교 기밀문서다. 문서에는 ‘해군 측은 육상전투대와 함정 근무 병사의 수를 고려해 예기와 작부 150명 증가를 희망한다’ ‘육군은 병사 70명에 대해 1명의 작부를 요구하는 의향이 있으나 칭다오는 병력 이동이 빈번해 정확한 숫자 산정은 어렵다’는 등의 내용이 담겨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당시 현지 공관이 중국에 진출한 일본군의 위안부 관련 의향을 본국 장관에게 보고한 것으로 일본군이 위안부 운영에 사실상 직접 관여했다는 정황을 드러내는 문서다.
일본 공산당 소속 가미 도모코 참의원은 해당 외교문서를 입수해 18일 공개했다.
앞서 가미 참의원은 이런 내용을 담은 문서가 실제 존재하는지 일본 정부에 공식 질의했다. 이와 관련해 아베 총리는 답변서에 해당 문서는 외무성과 국회도서관이 ‘종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한 자료’로 내각에 제출한 문서이며 현재 내각관방에 보관돼 있다고 인정했다.
강태현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