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아시아에서 남녀 평등 수준이 가장 우수한 국가로 평가됐다.
여성가족부는 유엔개발계획(UNDP)이 전 세계 189개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성불평지수(GII)’ 조사에서 0.058점으로 10위에 올랐다고 18일 밝혔다. GII는 점수가 0이면 완전 평등, 1이면 완전 불평등을 의미한다. 점수가 낮고 순위가 높을수록 성적으로 평등하다는 얘기다.
부문별로는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에서 지난해 52.2%보다 소폭 오른 52.8%를 기록했다. 여성의원 비율(17.0%)과 중등교육 이상 교육을 받은 여성 비율(89.8%)로 구성된 여성 권한 영역은 전년과 동일했다.
스위스가 0.037점으로 가장 평등한 국가에 이름을 올렸다. 스웨덴과 덴마크가 0.040점으로 공동 2위, 네덜란드 0.041점으로 4위, 노르웨이 0.044점으로 5위에 각각 랭크됐다. 아시아 국가 중에선 우리나라가 10위로 순위가 가장 높았고 싱가포르가 0.065점으로 11위, 일본 0.099점으로 23위, 중국 0.163점으로 39위에 올랐다.
함께 조사된 성개발지수(GDI)에서 우리나라는 지난해와 동일한 3그룹에 속했다. GDI는 각 나라의 성 격차 수준을 1~5그룹으로 나타내며 순위는 발표하지 않는다.
GDI가 상대적으로 낮은 건 남녀 소득수준 격차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남성 5만241달러, 여성 2만3228달러로 큰 차이가 났다.
GII와 GDI는 지난 12일 배포된 UNDP의 ‘2019년 인간개발보고서’에 담겼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