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에 종사하는 여성 노동자 4명 가운데 1명은 부당한 대우를 받았다고 답했다. 특히 10명 중 1명 이상이 임금체불이나 성차별 등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디지털 플랫폼 노동의 새로운 도전과 과제’ 토론회가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경제사회노동위원회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공동 주최로 18일 열렸다. 이 자리는 웹 기반 플랫폼 노동과 여성 플랫폼 종사자 실태와 보호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개최됐다.
오은진 여성정책연구원 여성노동연구센터장은 ‘온라인 기반 플랫폼과 여성 플랫폼 노동의 현실’ 발제를 맡았다. 그는 디지털 플랫폼 기업에 서비스를 현재 제공하고 있거나 과거 제공했던 여성 노동자 200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를 발표했다.
오 센터장에 따르면 여성 플랫폼 종사자 26.5%가 부당한 대우를 받은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임금체불·미지급(11.6%) ▲요구 불명확(18.4%) ▲연령 및 성차별 대우(11.6%) 등을 꼽았다. 성희롱 경험한 여성 노동자도 12.2%에 달했다. 또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51.6%가 고용계약 없이 자유롭게 일하고 있다고 답했다. 35.5%는 고용계약이 없었지만 정해진 장소·시간에 일하고 있었다. 고용계약을 맺고 일을 하고 있다는 응답자는 12.9%에 그쳤다.
여성 플랫폼 노동자 가운데 월 단위 보수를 받는 비율은 단 12%로 조사됐다. 일급·일당·시급 형태로 급여를 받고 있다는 응답률은 24.3%였다. 절반에 가까운 47%는 건당 수수료 등 성공보수 개념으로 돈을 받았다.
오 센터장은 “디지털 플랫폼으로 몰린 여성 노동자들은 일하는 환경이 자유로워도 오프라인 일자리보다 더 열악한 조건에 있다”며 “특히 단순 반복적 일을 수행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숙련도가 하락할 가능성 커 우려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사회적 경험상 웹기반 노동에 종사하는 여성은 취약계층일 가능성이 높다”며 “이들에게 노동의 대가를 정당하게 협상할 수 있는 경로를 마련해줘야 한다”고 제언했다.
문성현 경사노위 위원장은 “디지털 플랫폼 노동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크지만 공식 통계 등 기초 연구는 미미해 관련 정책과 제도 마련에 어려움이 있다”며 “플랫폼 노동이 좋은 일자리가 되기 위해 노사정과 전문가들이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