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탄핵 사태로 생채기 난 對우크라 관계 회복 나서

입력 2019-12-17 14:50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우크라이나와의 관계 개선에 적극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 탄핵 사태를 불러온 ‘우크라이나 스캔들’로 상처 입은 양국 관계를 회복하겠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 측근들은 반년 넘게 공석인 우크라이나 주재 미국대사 인선 작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의 첫 우크라이나 방문도 조율 중이다. 탄핵소추안이 상원에서 부결될 것으로 내다보고 일찌감치 사태 수습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미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신임 우크라이나 주재 미국대사로 퇴역 육군 중장인 케이스 데이턴 조지 마셜 유럽안보센터장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고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우크라이나 대사 자리는 전임자인 마리 요바노비치 대사가 지난 5월 석연찮은 이유로 경질당한 이후 지금까지 공석이었다. 소식통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데이턴 센터장이 “일을 하려는 의지가 있다”며 마음에 들어 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과 우크라이나 정부는 신임 대사 임명이 양국 관계 안정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우크라이나 정부 역시 차기 주미 대사로 볼로디미르 옐첸코 현 유엔 주재 대사를 내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익명의 트럼프 행정부 관리는 “탄핵에 정치적 관심이 집중된 상황에서 우크라이나 정책을 정상화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면서도 “그럼에도 양국에는 여전히 공통 이해관계가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 탄핵 논란이 불거진 이후 미국의 대(對)우크라이나 외교는 사실상 초토화된 상태다. 요바노비치 전 대사는 우크라이나 정부 압박에 협조하라는 루디 줄리아니 전 뉴욕시장의 지시를 거부했다는 이유로 경질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요바노비치 전 대사를 자리를 대신하기 위해 투입된 윌리엄 테일러 대리대사와 조지 켄트 국무부 유럽·유라시아 담당 부차관보 등 우크라이나 정책을 담당해온 실무진들은 청문회에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불리한 발언을 쏟아냈다. 이들 인사들은 청문회 출석 이후 업무에서 배제된 것으로 전해졌다. 때문에 미 행정부 내부에서 누가 우크라이나 정책을 담당하는지도 불투명한 실정이다.

아울러 폼페이오 장관은 내년 1월쯤 우크라이나를 방문할 것으로 알려졌다. 폼페이오 장관이 우크라이나를 찾는 것은 지난해 4월 취임 이후 처음이다. 폼페이오 장관은 트럼프 행정부가 조 바이든 전 부통령 수사를 압박하려 군사지원을 보류했다는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지를 재확인할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행정부 관리에 따르면 폼페이오 장관은 최근 우크라이나 정책에 보다 깊숙이 개입하고 있으며 이번 방문도 그 연장선상에서 이뤄졌다고 한다.

민주당은 탄핵안을 속전속결로 표결에 부칠 계획이다. 민주당은 18일로 예상되는 하원의 탄핵안 표결을 앞두고 탄핵안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658쪽 분량의 보고서를 공개했다. 민주당은 보고서에서 탄핵안에 적시된 트럼프 대통령의 권한 남용 및 의회 방해 혐의를 설명하는 한편, 뇌물수수 등 탄핵안에 거론되지 않은 다른 혐의도 함께 언급했다. 상원을 장악하고 있는 공화당은 하원에서 탄핵안이 넘어오는 대로 곧바로 부결시키겠다며 벼르고 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