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한국사 교과서에 제주4·3이 학생들이 반드시 배워야 하는 필수 학습요소로 반영됐다. 또, 제주4·3이 통일 정부 수립 과정에서 벌어진 역사로 분류돼, 사건의 민족사적 의미를 강조할 수 있게 됐다.
제주도교육청은 내년부터 고등학교 현장에서 사용할 2020 한국사 교과서에 제주교육청이 제안한 ‘4·3 집필 기준’이 반영됐다고 17일 밝혔다.
해당 교과서는 모두 8종(금성출판사·동아출판·미래엔·비상교육·씨마스·지학사·천재교육·해냄에듀)으로, 지난달 27일 최종 검정을 마치고 내년 새 학년부터 사용된다.
8종 한국사 교과서는 제주4·3을 8·15 광복과 통일 정부 수립 과정을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학습요소’로 반영했다. 때문에 해당 교과서를 사용하는 고등학생들은 역사과 교육과정에서 제주4·3을 필수적으로 배우게 된다.
4·3의 현대사적 위상도 강화됐다. 이전까지 대부분의 한국사 교과서는 4·3을 한국전쟁 발발 직전 어수선한 정국에서 발생한 소요사태로만 기술했다. 이러다 보니 4·3을 정부수립에 반대한 폭동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그러나 8종 한국사 새 교과서는 제주4·3을 통일 정부 수립 운동이 전개되던 시기에 벌어진 역사로 다루면서, 4·3사건의 역사적 위상을 한층 강화했다.
제주교육청은 교과서 개정 시기마다 4·3 왜곡 논란이 제기되자, 2017년 ‘검인정 역사 교과서 4·3 집필 기준개발 연구용역’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제주4·3 교과서 집필 시, 8·15 광복 이후 자주적 민족통일국가 수립과정에서 벌어진 사건이라는 위상 설정과 제주4·3사건진상보고서의 내용을 토대로 한 객관적 서술이 필요하다는 집필 기본 방향을 도출했다. 교육청은 이를 토대로 교육부와 역사 교과서 집필 기준 개발에 관여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집필 기준안 반영을 지속적으로 요청해왔다.
이석문 제주 교육감은 “지난 정부의 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과 교학사의 4·3 왜곡 기술 논란을 겪으면서 교과서의 문제는 집필 이전에 제기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면서 “앞으로는 4·3이 더욱 상세하고 진실에 맞게 실릴 수 있도록 살피겠다”고 말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