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내항과 바다 되찾기 시민모임 등 인천지역 51개 시민·문화단체는 17일 오전 10시 인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자청해 “회사 측의 재무구조 악화 등을 이유로 인천시와 추진한 모든 사업을 일방 중단하고 철수한 CJ그룹은 참으로 무책임한 기업이 아닐 수 없다”며 “비정한 기업논리”라고 질타했다.
이들은 “바다를 잃어버린 인천 시민이 내항을 되찾고자 했던 염원을 이윤 추구를 최우선의 목적으로 하는 대기업에게 맡겼다는 점에서 인천시의 책임도 적지 않다”며 “인천시는 CJ CGV 측의 일방적인 사업 포기에 대한 책임을 물어 입찰보증금을 시에 귀속시키고 협약 파기에 대한 배상을 철저히 받아내야 한다”고 요구했다.
그러나 인천시민사회는 CJ CGV의 상상플랫폼 철수는 위기가 아닌 전화위복의 기회라는 점을 분명히하고 있다. 인천지역 시민·문화단체들은 상상플랫폼 공모사업이 진행될 때부터 ‘내항재개발 기본계획’에 따라 상상플랫폼을 공공적인 문화예술공간 또는 도시혁신기지로 사용할 것을 지속적으로 요구온만큼 민관협치를 통해 대안을 마련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들은 “내항에 고층 아파트 개발을 획책했던 LH공사가 내항 사업을 포기한 것과 함께 CJ CGV의 상상플랫폼 철수는 인천지역사회에 새로운 창조 도시 기획의 기회와 함께 창조적 역량을 요구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인천시민사회는 상상플랫폼을 지역문화재생의 혁신 거점으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와 지역 역량을 모아나가야하고, 상상플랫폼은 공공성에 기반한 인천내항재개발의 첫 번째 사업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이미 인천항만공사로부터 국유재산법에 의한 감정평가 금액으로 부지를 사들여 마련된 이 공간을 인천지역 내부의 지혜와 역량을 동원해 내항재생의 선도사업으로 신중하게 설계해나가야 한다”면서 “공공성과 문화 창생을 위한 문화협치위원회를 구성해 상상플랫폼의 재설계부터 인천시와 시민들이 머리를 맞대고 협치로 풀어나가는 실질적 의지를 보여주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를 위해서는 인천시가 근본적인 사고와 태도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들은 인천시가 섣불리 상상플랫폼 사업자를 재공모하는 등의 소극적인 사업 추진을 생각하고 있다면 당장 중지해야 하고, 인천시가 나서서 공공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인천시는 외부 리모델링 긴급공사 입찰 공고를 내는 등 민관협치를 외면하고 있다.
이들은 “상상플랫폼을 어떠한 성격으로 결정하고 내부 공사를 언제 어떻게 해야 할 지 시민적 합의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에서 외부 리모델링 공사부터 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국비 지원사업이라 올해에 계약 체결을 통한 예산을 집행해야 한다고 하지만 이는 졸속 추진으로 안 한 것만 못한 경우가 될 수도 있어 오히려 예산 낭비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마지막으로 “내항 1·8부두 항만재개발사업에서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사업을 포기한 데 이어 이번에 CJ CGV마저 철수를 하자 이의 원인을 사업성 약화로 규정짓고 ‘용적률 상향’ 이야기가 흘러나오는 것에 대해서 우리는 우려를 표명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사업성을 위해 용적률을 높이면 조망권 침해와 도시 경관 파괴 등 공공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사업성을 높여 초고층으로 재개발을 해야한다는 항만업계와 바다를 조망할 수 있도록 저밀도로 개발해야 한다는 시민사회와의 충돌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