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 패션전문직 직원들이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은 못난이 감자만 신경쓴다”며 “처우를 개선하라”고 요구했다.
2003년부터 이마트 본사와 상품판매 위탁계약을 맺은 개인사업자인 패션전문직은 이날 서울 성동구 성수동 이마트 본사 앞에서 집회를 열고 “패션전문직은 근속기간도 길고 업무숙련도도 높은데 임금인상률은 낮아 상대적 불이익을 받고 있다”고 호소했다. 지난 6월에 이은 두번째 총 궐기대회다. 패션전문직 4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각자 판매사원을 고용해 판매분에 대한 수수료를 받는다. 이마트는 2013년 패션부문 판매직 도급사원 1600여 명을 패션전문직으로 전환하면서 경력직이 아닌 신규사원으로 채용했다. 이 때부터 지위가 달라졌다. 고용노동부는 이마트 내 상품 진열 도급사원 등에 대해 불법파견 판정을 내렸다. 이마트는 직접 고용 형태인 ‘전문직’으로 채용을 변경했다.
이들은 “이마트에서 일한 모든 기간을 경력으로 인정해달라”며 “정규직 전환으로 발생한 퇴직금도 지급하라”고 요구했다. 책임감을 갖고 일해 왔으나 전문직과 임금역전이 발생해 상실감이 커졌다는 지적이다. 기본급과 직무능력급의 인상을 통해 십수년의 업무경력 등을 보전해줘야 한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노조에 따르면 올해 임금협상시 전문직은 전년대비 11.3% 임금이 오른데 반해 패션전문직은 3% 인상에 머물렀다.
김동순 이마트민주노동조합 지도위원은 “정 부회장은 감자만 신경쓴다”며 “우리가 감자만도 못한 존재인가”라고 분노했다. 정 부회장이 최근 강원 농가에서 버려질 위기에 처한 못난이 감자 30톤을 구매해 이마트 매장에서 판매해 큰 화제를 불러모은 상황을 지적한 것이다.
김주홍 이마트민주노조 위원장은 “2013년에 패션전문직이 정규직으로 전환된 이후 약 7년동안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며 “지난 11월 퇴직사원까지 합쳐 200명이 이마트를 상대로 불법파견 지위확인 소송을 냈다. 분명 인용될 걸로 생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마트민주노동조합은 지난달 서울중앙지법에 이마트를 상대로 불법파견지위확인 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신세계-이마트 전체 사원인 2만6000여명 중 패션전문직은 500여명에 불과해 이들의 요구안은 대표노조의 교섭의제로도 채택되지 못하고 있다.
이마트 관계자는 “패션전문직은 신규채용 이전에 개인사업자의 형태였기 때문에 퇴직금 정산은 고용형태가 바뀐 2013년도부터 정산하는 것이 맞다”며 “인센티브 부분도 다른 직군에 비해 연평균으로 따져보면 패션전문직이 결코 적지 않다”라고 설명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