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의 ‘하명수사’로 작년 지방선거에서 낙선했다고 주장하는 김기현(60) 전 울산시장이 이틀째 검찰에 나가 조사를 받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2부(김태은 부장검사)는 16일 오전 10시 김 전 시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했다. 김 전 시장은 전날에도 오후 2시부터 9시간여에 걸쳐 검찰 조사를 받았다.
김 전 시장은 이날 검찰에 출석하면서 ‘하명수사는 없었다’는 전날 청와대 설명에 대해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릴 수 있겠느냐. 삼척동자도 뻔히 아는 걸 모른다고 하면 국민을 뭘로 아는 건지 모르겠다. 국민은 바보가 아니라는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검찰은 김 전 시장을 상대로 작년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송철호(70) 현 울산시장 측의 선거 전략·공약 수립 과정에 대해서도 아는 게 있는지 물어볼 방침이다.
검찰은 송 시장 측이 2017년 가을쯤부터 울산시 내부자료를 입수해 선거전략을 짜는 데 활용한 정황을 포착하고 문건 작성·유출에 관여한 것으로 의심되는 울산시 공무원들을 소환 조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송 시장 캠프에서 정책팀장을 맡았던 송병기(57) 현 울산시 경제부시장의 사무실 등지를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울산시 공무원들이 선거전략 수립에 도움을 준 단서를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송 시장은 지난해 2월 울산시장 예비후보로 등록하기 전 송 부시장과 정모(53) 현 울산시 정무특보 등이 참여하는 선거준비 조직 ‘공업탑 기획위원회’를 꾸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같은해 1월 송 부시장과 함께 청와대 인근 식당에서 장모(58) 당시 청와대 균형발전비서관실 선임행정관을 만나 공공병원 설립 관련 논의를 주고받기도 했다. 장 행정관은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고발된 상태다. 이에 대해 청와대는 “대통령 공약사항을 설명하는 일은 행정관 본연의 업무”라며 선거개입 의혹을 부인했다.
김 전 시장은 울산시 공무원들의 선거개입 의혹에 대해 “송 부시장 혼자 한 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때로는 압력을 넣으면서까지 진행한 것 아닌가, 계획적이고 거대한 조직에 의해 움직인 것 아닌가 한다”고 말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