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이사장 박두용)과 4대 엘리베이터 제조사는 13일 서울 국회의원회관 제2간담회실에서 ‘엘리베이터 작업 사고사망 근절 및 안전경영체제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4대 엘리베이터 제조사는 현대, 티센크루프, 오티스, 미쓰비시엘리베이터다.
국내 엘리베이터 시장은 신규 설치대수를 기준으로 세계 3위권의 시장으로 성장했지만 현장 안전은 열악한 상황이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최근 5년간 37명이 엘리베이터 관련 작업 중 사망했다. 사망사고는 주로 점검·수리, 설치작업 중에 발생했고, 사고유형의 대부분은 추락·끼임이었다.
또한 엘리베이터 공사의 경우 다단계 하도급 구조로 이뤄지다 보니 적정 수준의 공사비용이 책정되지 않아 안전한 작업을 위한 인력배치와 장비 지급 등 체계적인 안전관리가 어려웠다.
이에 지난 10월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선 엘리베이터 현장 안전관리에 대한 문제가 집중 제기됐다. 특히 지난달 환노위 현안질의에서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의원은 우리나라에서는 해외와 달리 엘리베이터 작업 시 안전성이 떨어지는 불량 비계를 사용하는 등 노동자 안전이 방치되고 있는 점을 지적하고 개선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이에 따라 공단과 4대 제조사들은 엘리베이터 작업의 근원적 안전을 확보해 반복되는 노동자 사망사고를 근절하기 위해 이번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업무협약에선 우선 엘리베이터 작업 전용 시스템 비계, 표준 안전작업지침서(가이드)를 공동 개발해 현장에 적용하기로 했다. 이번에 개발하는 시스템 비계는 국내·외 엘리베이터 작업 실태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실정에 맞게 제작해 성능평가 등을 거쳐 현장에 보급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작업현황 공유 및 기술지원 연계, 자율 안전보건경영체계 확립 등을 통해 산재예방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작업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훈련을 확대하기로 했다.
박 이사장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엘리베이터 업계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이 다치지 않고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며 “공단은 산업현장에 안전 없이는 기업도 없다는 인식을 널리 확산시켜 모든 노동자들이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