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이라도 인천시와 정부가 주도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인천 내항 재개발의 신호탄인 ‘상상플랫폼’ 사업이 민간에만 의존하려던 인천시의 안일한 행정으로 인해 좌초될 위기에 놓였다.
(사)인천경제연구원 이사장 배준영 이사장은 16일 성명을 통해 “내항 재개발 사업은 2007년 주민들의 노력으로 시작된 숙원사업”이라며 “지난 2015년 당시 인천항만물류협회 회장으로서 회원사와 항운노조원들을 설득해 8부두 개방을 이끌어내고, 어렵게 내항 재개발 사업 추진에 청신호를 켰지만 인천시의 미숙한 행정으로 또다시 사업은 안갯속에 빠지게 됐다”고 질타했다.
앞서 인천시는 박남춘 시장의 취임 직후인 지난해 7월 상상플랫폼의 운영사업자로 CJ CGV를 선정하고 원도심 재생사업을 본격 추진한다며 대대적으로 홍보했다.
친수공간이 되어야 할 내항 1,8부두가 지극히 상업적인 공간으로 변질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있었지만, 지역주민들은 조속히 원도심 재생을 추진하고 지역상권을 지키는 방안도 인천시가 함께 마련할 것으로 기대하며 사업을 지켜봤다는 것이다.
그러나 CJ CGV가 상상플랫폼 사업을 포기하면서 원도심의 부활을 기대해온 주민들의 기대가 물거품이 됐다.
배 이사장은 “내항 재개발 사업의 난항은 예견된 일이었다”면서 “인천시, 인천항만공사와 함께 사업을 추진하던 LH가 지난 8월 사실상 적자보전 문제를 이유로 사업에서 철수했고, 인천시는 부랴부랴 인천도시공사에 사업참여를 요청했지만 이마저도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CJ CGV도 결국 상상플랫폼 착공을 차일피일 미루는 등 사업을 포기했다”고 지적했다.
CJ CGV가 실제로 사업에서 손을 떼자, 인천시는 입찰보증금 1억여 원을 회수하고 손해보상 소송을 진행하겠다고 발표했다.
배 이사장은 “인천시가 상상플랫폼 조성사업을 하겠다는 CJ CGV의 말만 믿고 220억원을 들여 부지를 매입하고 건물 외부 설계비 5억원 등을 투입하고, 허비한 시간만 1년 6개월”이라며 “사업철수 등을 대비한 방어적 조치도 없이 민간에만 의존한 인천시의 미숙한 행정이 불러온 촌극이 아닐 수 없다”고 질타했다.
이와 관련, 항만업계에서는 내항 재개발 사업을 더 이상 민간에 떠밀지 말고 인천시가 직접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배 이사장은 “균형발전정무부시장, 원도심재생조정관 등 구호만 요란한 행정을 멈추고 원도심 재생을 위한 적극적인 재정 투입과 정부지원을 얻어내야 한다”면서 “인천도시공사가 LH를 대신해 내항 재개발 사업기관으로 참여하고, 박인서 인천도시공사 사장이 시 균형발전정무부시장으로 내정된 만큼 책임 있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와 함께 배 이사장은 “사업성 향상을 위해 인천역을 활성화하는 방안도 함께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배 이사장은 또 “지난 2013년 해양수산부 장관이 직접 인천을 방문해 내항 8부두를 친수공간으로 조성하겠다고 발표한 정부도 내항 재개발 사업에 책임이 크다”고 전제, “인천 내항은 원도심의 역사와 문화, 인천발전의 영광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유산인만큼 천편일률적인 쇼핑몰 같은 공간은 줄이고 문화가 살아 숨쉬는 친수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정부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