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재수 전 부산시 경제부시장이 금융위원회 국장이었던 2017년 당시 그에 대한 청와대 감찰이 석연치 않게 중단됐다는 의혹에 대해 백원우 전 민정비서관이 “의도적인 감찰 중단은 없었다”고 말했다.
백 전 비서관은 12일 KBS와의 인터뷰를 통해 “청와대가 감찰을 중단시켰다는 의혹은 애초부터 성립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앞서 청와대는 당시 감찰은 민정수석실 핵심 관계자 회의 이후 마무리됐다고 설명했다. 당시 회의에는 조국 당시 민정수석과 백 전 비서관, 박형철 반부패비서관 총 3인이 참석했다.
백 전 비서관은 “박 비서관이 감찰 결과 보고서를 가져와 회의할 때는 이미 감찰이 종료됐을 때”라며 “회의는 처리 결과를 논의하기 위한 자리였다”고 했다. 또 “결과 보고서에 처리 방침이 명시됐다면 이미 감찰이 종료돼 더이상 감찰 중단이나 무마에 대한 논의가 불필요한 시점”이라며 “감찰이 더 이상 진행되지 못했던 것은 유 전 국장이 동의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어 “휴대전화 포렌식과 본인 동의 하에 조사도 있었지만 이후 더 이상 동의하지 않아 감찰이 불가능했다”고 말했다. 청와대 감찰은 강제조사권이 없어 본인의 동의 없이 감찰이 이뤄질 수 없었다는 의미다.
그러면서 “일부 언론의 의혹 제기는 본인의 동의도 없이 청와대가 강제로 계속 조사하라거나 공직자와 연계된 민간인을 조사하라는 의미”라며 “청와대가 불법을 해서라도 감찰을 계속하라는 주장”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백 전 비서관은 3인 회의 이후 김용범 당시 금융위원장 부위원장에게 유 전 부시장의 비위 사실을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는 징계 없이 사표를 수리했다. 이후 국회 정무위원회 전문위원, 부산시 부시장 등으로 자리를 옮겼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