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 캠프롱 60여년 만에 시민 품으로…시민단체 정부 행정력·예산 투입촉구

입력 2019-12-12 13:39
원주시 캠프롱 기지 반환 범시민대책위원회는 12일 오전 원주시청에서 미군기지 반환 결정을 환영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원주시 제공

강원도 원주 캠프롱이 60여년 만에 시민 품으로 돌아오면서 지역 발전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원주시 캠프롱 기지 반환 범시민대책위원회는 12일 오전 원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미군기지 반환 결정을 적극적으로 환영했다. 그동안 범시민대책위는 원주시와 함께 미군기지 반환을 촉구하는 시민 12만명의 서명부를 정부에 전달하는 등 적극적인 반환 활동을 펼쳐왔다.

범시민대책위는 “국방부는 원주시와 협의체를 구성, 조속히 정화 처리를 마치고 캠프롱 기지를 시민의 품으로 돌아올 수 있게 해 달라”며 “60년 넘게 이어진 주민들의 고통, 불편, 사회경제적 비용까지 합치면 정부가 특별한 관심과 혜택을 줘야 된다”고 밝혔다.

범시민대책위 이선경 공동대표는 “원주 미군기지는 2010년 폐쇄된 채로 방치돼 해당 지역 주민들은 커다란 고통과 불편을 감내했고 사회경제적 손실 비용도 막대했다”며 “정부는 원주시와 창구를 만들어 반환되는 공여지가 지역발전의 초석이 되도록 모든 행정력과 예산을 투입해 달라”고 촉구했다.
원주 캠프롱 전경. 연합뉴스

원주시는 캠프롱 부지에 주민 여가선용과 휴식을 위한 문화체육공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캠프롱 부지 내 건축물과 시설물 등은 현장 조사를 해 북카페 및 숲속의 집 등으로 리모델링 후 활용할 방침이다.

시는 소유권 이전 시기를 오는 2021년쯤으로 예상하고 원주 반환과 동시에 사업에 착수할 수 있도록 관련 절차를 최대한 앞당길 계획이다.

이미 2014년 공원 조성계획과 실시설계를 위한 용역에 착수했으며 강원도 발전종합계획에 공원 조성계획을 승인받은 상태다. 시는 부지의 국내 반환 시점부터 국방부와 함께 현장조사 등을 실시하고 토양오염 정화 기간 동안 세부조성계획과 관련 절차를 완료하는 등 착공 준비를 마칠 방침이다.

원창묵 원주시장은 “미군 부대 주둔으로 60년 동안 국가 안보를 위해 피해를 본 지역 주민들 품에 문화체육공원을 조성해 돌려 드릴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태장동 일원 34만4332㎡ 부지에 조성된 캠프롱은 1951년부터 미군이 주둔하다가 2010년 6월 평택으로 이전한 뒤 9년째 방치되고 있다. 원주시는 국방부와 토지매입 협약에 따라 2016년 3월 665억원을 완납했다. 그러나 환경부와 미군이 토양 오염 정화 비용 부담 문제에 대해 이견을 보이는 사이 공시지가가 올라 시는 올해 땅값 상승분 125억원을 추가 납부, 토지 매입비로 790억원을 부담했다.

원주=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