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기억연대(정의연)는 11일 정오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민주노총 보건의료노조 주관으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1417차 수요집회를 열었다.
참가자들은 성명서에서 “아베 정부는 과거사에 대해 반성하고 사죄해야 하지만 여전히 역사적 진실을 왜곡하고 범죄행위 자체를 정당화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문재인 정부는 국제관계 눈치를 보며 강제동원 피해자들을 돈으로 청산하고 일본 정부에 면죄부를 주는 ‘문희상안’을 백지화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문희상 국회의장은 한일 기업과 국민 성금으로 강제징용 피해자에게 위자료 또는 위로금을 지급하는 ‘1+1+α(알파)’ 안을 강제징용 문제 해법으로 제시했다.
한경희 정의연 사무총장은 “문 의장이 준비 중인 법안은 일본의 전쟁범죄를 면탈해주고 결과적으로 그들의 범죄를 묻지 않는 것”이라며 “인권과 역사, 정의의 문제를 정치 협상의 도구로 삼으려 한다”고 비판했다.
이날 서울의 미세먼지 농도는 127㎍/㎥까지 치솟았다. 그럼에도 주최 측 추산 500여명이 집회에 참석해 일본 정부에 사죄와 배상을 촉구했다. 참가자들은 ‘역사 속에 우리가 함께 하겠습니다’ 등 문구의 피켓을 들었다.
옛 일본대사관 인근에서는 식민지배 미화 논란을 일으킨 책 ‘반일종족주의’의 공동 저자 이우연 낙성대경제연구소 연구위원 등 2명이 수요집회 중단을 촉구하는 1인 시위를 진행하기도 했다.
이에 오천도 애국운동국민대연합 대표 등이 “허무맹랑한 매국노”라고 공격하면서 소란이 벌어졌다. 경찰은 양측이 물리적으로 충돌하지 않도록 개입했다. 다만 이 연구위원이 들고 있던 피켓을 발로 차 부순 A씨에 대해서는 재물손괴 혐의로 현행범 체포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