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의회와 대구시교육청이 무선청소기를 놓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시의회는 추경예산을 삭감한 사안을 강행한다며 불쾌감을 나타내고 있고 시교육청은 교실 환경 개선을 위해 필요한 사업을 하고 있다며 억울해하고 있다.
시교육청은 미세먼지 저감과 쾌적하고 깨끗한 실내 공기질 조성을 위해 18억8200만원을 투입해 학교 실정에 맞는 청소기를 보급한다고 11일 밝혔다. 보급 예정인 청소기 종류는 무선청소기(1925대), 유선 업소용 청소기(1481대), 유선가정용 청소기(267대), 물걸레 청소기(443대)다.
시교육청은 청소기 보급에 앞서 지난 10월 관내 전체 학교에 대해 청소 실태 및 청소기 보급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에는 학교 794곳의 교직원과 학부모 등 3550명이 참여했다. 청소기 선호도 설문 조사 결과 무선청소기는 46.8%(유치원과 초등학교에서 주로 희망), 유선 업소용 청소기는 36%(중·고등학교에서 주로 희망), 유선 가정용 청소기는 6.5%, 물걸레 청소기는 10.8%로 각각 나타났다.
하지만 대구시의회는 시교육청이 지속적으로 일선 학교 교실에 무선청소기를 보급하려는 정책에 대해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이진련(더불어민주당) 대구시의원은 “고가이지만 상대적으로 고장이 잦을 수밖에 없는 무선청소기를 학교현장에 무리하게 보급하려는 의도가 무엇인지 모르겠다”며 “시의회 상임위원회에서 심도 있는 논의와 심사를 통해 필요 없다고 결정한 사안을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이 사업을 밀어붙이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시교육청은 지난 6월 모든 학교를 대상으로 3학급당 1대씩 무선청소기를 제공하는 등의 청소기 교체·보급 사업을 위해 추경예산안 23억원을 편성했다. 본예산에 추가 예산을 더해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지역에서 미세먼지 제거 등에 유선보다 고가의 무선청소기가 더 효율적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됐다. 또 파손이나 고장 등의 우려가 유선보다 더 높아 비효율적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이에 시의회 소관 상임위원회 심사에서 내구성 및 효율성 등의 이유로 추경예산이 전액 삭감됐고 시교육청은 본예산만으로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학교 구성원의 의사를 물어 필요한 청소기를 보급하기로 당초부터 계획했던 것이고 설문조사를 통해 이를 확인한 것”이라며 “일선 학교에서 원하는 것을 보급하는 취지로 진행된 사업인데 오해가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