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관계가 ‘없던 일’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지난해 6월 1차 북·미 정상회담 이후 김 위원장과 친밀함을 과시해온 트럼프 대통령이 관계 파탄 가능성을 언급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이 도발을 저지르면 모든 것을 잃을 수 있다고도 압박했다. 북한이 도발 강도를 차츰 높이며 내년 미 대선에 개입하겠다는 의도를 드러내자 강력한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8일(현지시간) 트위터에 “김 위원장은 자신이 적대적으로 행동할 경우 잃을 게 너무 많다는 것을 알 만큼 영리하다. 그는 사실상 모든 것을 잃게 될 것”이라며 “그는 싱가포르에서 나와 강력한 비핵화 합의를 맺은 바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미국 대통령과의 특별한 관계를 없던 일(void)로 만들기를 원치 않을 것”이라며 “내년 11월에 열리는 미국 대선에 개입하기도 원치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 관계 진전을 자신의 치적이라고 주장해왔다. 때문에 북한이 미사일을 쏘거나 북·미 협상을 일방적으로 결렬하더라도 김 위원장과 친분 관계를 내세우며 낙관적 전망을 밝혀왔다. 김 위원장이 설정한 ‘연말 시한’이 다가오면서 북한이 6·12 합의 이전 상황으로 되돌아갈 기미를 보이자 관계 단절 가능성까지 언급하며 이를 만류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내년 대선을 앞두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는 북한이 ‘크리스마스 선물’까지 언급하며 도발 카드를 만지작거리는 데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윗에서도 김 위원장이 이끄는 북한은 높은 경제적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칭찬했다. 그러면서도 김 위원장이 자신과 했던 비핵화 약속을 우선 지켜야 한다고 꽤 강경한 목소리를 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의 지도하에 있는 북한은 엄청난 경제적 잠재력이 있지만 약속했던 바와 같이 비핵화를 해야 한다”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와 중국, 러시아, 일본 그리고 전 세계가 이 문제와 관련해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고 강조했다.
로버트 오브라이언 백악관 국가안보보과관도 북한에 강경한 메시지를 발신했다. 오브라이언 보좌관은 이날 CBS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김 위원장은 남북한 사람들과 미국, 더 나아가 전 세계에 한반도 비핵화를 약속한 바 있다”며 “만약 북한이 약속했던 것과 다른 길을 택할 경우 미국은 이에 대응할 다양한 도구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이 약속을 지키지 않으면 우리는 이를 고려할 수밖에 없다. 우리 도구함에는 많은 도구가 있다”고 강조했다.
오브라이언 보좌관은 ‘북한이 핵실험을 준비하고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는 “그러지 않기를 바란다”며 “만약 그런 일이 벌어진다면 북한은 실수를 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비핵화는 협상 테이블에서 내려왔다”는 김성 유엔 주재 북한대사의 전날 성명과 관련해서는 “조금 놀랐다”고 말했다. 김 대사의 언급이 김 위원장의 한반도 비핵화 공약과 모순된다는 이유에서다. 오브라이언 보좌관은 “만약 그런 일이 벌어진다면 그들에게 좋게 끝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협상을 계속하고 있다”며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지켜볼 것”이라며 대화로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