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3선의 김영우 자유한국당 의원이 황교안 대표를 향해 “공천권을 내려놓아야 한다”며 “내년 총선에서 지역구나 비례대표로 출마하지 말고, 전국을 누비라”고 말했다.
바른정당 복당파 출신으로 온건·합리 성향이란 평가를 받는 김 의원은 6일 TBS 라디오에 출연해 “최근 황 대표의 당 장악력이 강해졌다. 작용이 있으면 반작용이 있는 법”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국회의원 후보는 경선을 거쳐 민주적인 과정을 통해서 뽑혀야 당선 가능성이 높다. 그래야 의정활동도 제대로 할 수 있다”며 “지도부 눈치를 보면 아무 말을 못 한다. 그래서 공천권(을 내려놓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또 “한국당이 좀 더 다양한 목소리가 나오는, 살아있는 정당이 돼야 한다”며 “정부 여당과 투쟁한다는 것 때문에 당내에서 나오는 다양한 목소리에 대해서 ‘뒤통수 치지 마라’, ‘전선을 흩트리지 마라’하는 분위기가 있었다. 우리 당이 국민과 함께하기 위해서는 다양성을 받아들여야 하고, 원내대표도 누가 되든지 황 대표가 잘못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지적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황 대표도 받아들일 건 받아들여야 하고, 반박할 것은 반박해야 한다”라며 “정당은 공무원 조직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예를 들어 보수통합도 순서가 바뀌었다. 당대표가 ‘통합하겠다’먼저 선언을 했고, 그다음 통합 작업을 추진할 단장을 뽑았다”며 “(보수통합)이 무슨 공공 프로젝트처럼 진행되기는 어렵다. 물밑조율부터 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최근 황 대표와 당 지도부가 나경원 원내대표의 연임을 막은 것과 관련해서도 “원내대표는 당대표가 임명하는 당직가 아니다. 원내대표가 밉든 곱든 의원들이 결정할 사안”이라며 “황 대표가 과거 제왕적 총재 시절의 모습을 보였다. 굉장히 불행한 일”이라고 비판했다. 당 개혁을 두고도 “근본부터 확 바꿔야 한다”며 “발전적 해체를 하면서 많은 시민단체, 시민세력, 나라를 걱정하는 모든 분들하고 함께하는 그런 정당을 만드는 게 제일 좋겠다”고 제안했다.
심우삼 기자 s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