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비핵화 협상 핵심인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필요시 군사력 사용’ 발언을 비난했다.
최 제1부상은 5일 발표한 담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무력사용 발언과 비유 호칭이 즉흥적으로 불쑥 튀어나온 실언이었다면 다행이겠지만 의도적으로 우리를 겨냥한 계획된 도발이라면 문제는 달라진다”고 말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전했다.
그는 “바로 2년 전 대양 건너 설전이 오가던 때를 연상시키는 표현들을 의도적으로 다시 등장시키는 것이라면 그것은 매우 위험한 도전으로 될 것”이라며 “우리는 무력사용과 비유 호칭이 다시 등장하는가를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만약 그러한 표현들이 다시 등장하여 우리에 대한 미국의 계산된 도발이었다는 것이 재확인될 경우 우리 역시 미국에 대한 맞대응 폭언을 시작할 것”이라고도 했다.
또 “우리 외무성 역시 최대로 예민한 시기 부적절하게 내뱉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불쾌감을 자제할 수 없다”며 “우리가 더욱더 기분 나쁜 것은 공화국의 최고 존엄에 대해 정중성을 잃고 감히 비유법을 망탕 쓴 것이다. 이로하여 미국과 미국인들에 대한 우리 인민들의 증오는 격파를 일으키며 더한층 달아오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고존엄에 대한 비유법’은 ‘로켓맨’ 등의 표현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토 기자회견에서 “그는 분명히 로켓들을 쏘는 것을 좋아한다”며 ‘로켓맨’이라고 칭했는데, 북·미 간 긴장이 최고조에 달했던 2017년 하반기 사용했던 별명으로 김 위원장을 조롱하는 의미다.
최 제1부상은 “지금과 같은 위기일발의 시기에 의도적으로 또다시 대결 분위기를 증폭시키는 발언과 표현을 쓴다면 정말로 늙다리의 망녕이 다시 시작된 것으로 진단해야 할 것”이라며 “우리 국무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을 향하여 아직 그 어떤 표현도 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