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의 그늘…지난해 5인 미만 영세업체 일자리 ‘24만개’ 사라졌다

입력 2019-12-05 16:56

팍팍한 일상과 경기 부진이 일자리 통계에서 고스란히 노출됐다. 지난해 전체 일자리는 전년 대비 26만개 증가했다. 노인과 도매 및 소매업 위주로 늘었다. 반면 최근 경기 침체의 중심에 서 있는 30~40대 일자리, 제조·건설업 일자리 감소 현상은 계속됐다. 특히 5인 미만 영세업체 일자리는 무려 24만개나 사라졌다.

또한 지난해 취업자 수 증가 폭은 9만7000명에 그쳤다. 새로 생긴 일자리와 비교하면 턱없이 작은 숫자다. ‘투잡’을 비롯해 일자리가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하면서 생기는 ‘통계 오차’로 분석된다.

통계청은 5일 ‘2018년 일자리 행정통계 결과’를 발표하고 지난해 연간 일자리는 2342만개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1년새 26만개가 늘었다. 노인이 일자리 증가를 이끌었다. 노인 일자리 사업 등으로 60세 이상 일자리는 25만개 증가했다. 이와 달리 경제의 허리인 30~40대 일자리는 전년 대비 13만개 감소했다.

산업별로도 불황의 흔적이 역력하다. 반도체 등 제조업 부진으로 관련 일자리는 1년새 6만개 없어졌다. 건설업에서도 3만개가 감소했다. 반면 도매 및 소매업(7만개), 부동산업(7만개),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4만개), 숙박 및 음식점업(4만개) 등에서 일자리가 증가했다. 영세업체의 상황은 더 안 좋았다. 5인 미만 사업체의 일자리는 1년새 24만개 줄었다.

지난해 일자리 증가 규모는 취업자 수 증가 폭보다 훨씬 컸다. 지난해 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9만7000명 늘었다. 통계청은 두 숫자의 차이를 조사 방법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취업자 수는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다. 일자리 행정통계는 ‘사업체’에게 묻는다. 예를 들어 평일에 기업체에 다니고 주말에 학원 강사를 한다면 취업자는 1명으로 잡히지만, 일자리는 복수(근로일수를 가중치로 적용)로 계산된다.

다만 통계청은 ‘투잡’ 등 다양한 형태의 일자리 규모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취업자 수와 일자리 수 증가 폭에서 차이를 만든 요인을 추정하기 어려운 것이다. 통계청은 단기 일자리 등 고용보험 적용 사각지대에 있었던 근로자들이 일자리안정자금 지원 등을 계기로 통계에 포착된 사례가 늘어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취업자 수를 파악하는 경제활동인구조사, 일자리 수를 집계하는 행정통계는 조사 방식에 차이가 있어 숫자가 다르다. 일자리가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그런 점들이 반영되고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세종=전슬기 기자 sgj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