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최근 경기도 성남 소재 어린이집에서 발생한 사건을 설명하는 용어에 관해 ‘성폭력’보다 ‘성적 일탈 행위’가 적합하다고 했다.
박 장관은 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화장품산업 육성방안’ 브리핑을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복지부는 아동 보호에 최우선을 두고 있다”며 “아이들의 심리적 트라우마를 최소화하는 방향에 초점을 두고 대책을 만들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가해자와 피해자가 아니라 둘 다 5세의 어린아이”라면서 “어른에게 적용되는 성폭력이라는 용어를 쓰면 아동을 보호할 여지가 없어진다. (이 사건에) 쓸 수 있는 넓은 범위의 용어는 ‘성적 일탈 행위’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번 사고로 아이들의 성적인 일탈 행위에 대한 인식이나 대책이 참 부족하다는 걸 알게 됐다”면서 “부모 교육을 통해 아이들에게 어떤 교육을 할지, 기관에서 어떻게 교육해야 할지 매뉴얼을 만들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이런 사건은 어린이집에서만 발생하지 않고, 또 동네에서 발생했다고 해서 보건복지부가 빠질 일도 아니다”라며 “여성가족부, 교육부와 함께 아동 보호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계획에 대해서는 “다른 나라를 보니 5세 이하 아동에 대한 대책이 별로 없다”면서 “발달과정에서 보이는 이상행동이 있을 때 어떻게 하면 적절하게 아이들을 보호하면서 대처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장관은 지난 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성남 어린이집 성폭력 사건에 어떻게 대처할 것이냐”는 신상진 자유한국당 의원의 질의에 “발달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모습일 수 있다”는 취지로 답변해 피해자를 배려하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았다.
논란이 일자 보건복지부는 “장관의 발언은 아동의 발달에 대한 전문가의 일반적인 의견을 인용한 것”이라며 “사실관계 확인 후 전문가의 의견을 듣고 결정하겠다는 취지였다”고 해명했다.
박실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