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에 민주화운동과 인권교육 전문가 양성 위한 ‘5·18 대학원’ 설립

입력 2019-12-05 14:47 수정 2019-12-05 15:10

5·18민주화운동과 인권 교육을 위한 대학원이 설립된다. 광주시가 지역대학과 함께 가칭 민주인권대학원을 세워 민주화운동과 인권 교육을 전담하는 석·박사와 해설가를 육성하기로 했다.
광주시는 “내년 5·18 40주년을 앞두고 향후 5년간의 민주화운동 기념·정신계승 사업에 관한 기본계획을 확정했다”고 5일 밝혔다. 전날 개최된 ‘광주시 민주화운동기념 및 정신계승위원회’를 통해서다. 시는 5·18을 기념하고 그 정신을 미래지향적으로 계승·발전시키기 위해 지난 2012년 12월 제정한 관련 조례에 따라 5년 단위로 기념·정신계승 추진계획을 세워 시행해야 한다.
위원회가 확정한 기본계획은 역사정리, 추모사업, 교육·홍보, 연대강화, 지역사회 거버넌스 구축 등 5개 분야다. 세부과제로는 5·18 대학원 설립과 초·중·고 민주시민교실 운영을 포함한 42가지가 제시됐다.
시가 설립공모를 통해 늦어도 2024년까지 지역 대학에 개설하는 민주인권대학원 운영이 가장 두드러진다. 시는 대학원에 4학기의 석·박사 과정과 함께 전문해설가 양성을 위한 2~3개월 단기과정을 개설하기로 했다. 시의 학비지원을 받게 될 대학원생들은 5·18 인문예술학, 민주화운동사학, 남북한학, 민주시민교육학, 세계민주시민학, 국제인권학, 민주인권예술학, 민주인권 NGO학 등 7개 과목을 골고루 배우게 된다. 대학원을 졸업하면 향후 초·중·고에서 5·18의 역사와 인권교육 전임 교원으로 일하게 된다. 민주의식에 기초한 민주·인권 전문가들이 후손들에게 5·18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심어주게 되는 것이다.
이들은 지역대학에서도 5·18 관련 교양과목을 강의하고 공무원 연수교육 등에도 적극 참여하게 된다. 시는 대학원 단기과정을 통해 육성하는 5·18 전문해설사와 함께 중·고생과 시니어 해설사도 인증과정 수료를 거쳐 별도 양성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전문해설사가 아닌 중·고생 해설사는 봉사점수를 부여받고 시니어 해설사는 은퇴 후 실비를 지급받으면서 사회봉사의 기회를 갖게 된다.
광주시 김용만 민주인권과장은 “공모를 거쳐 협약을 맺은 지역대학에 대학원 과정을 개설해 5·18 정신계승에 종사할 민주·인권 전문가를 육성하기로 했다”며 “민주화의 성지 광주의 위상과 더불어 시민들의 민주의식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