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수입 의존도가 높은 화장품 원료를 국산화하고 국가별로 맞춤형 화장품을 개발해 2022년까지 화장품 수출액 세계 3위를 달성하고 7만여개의 일자리를 창출한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의 ‘K-뷰티 화장품산업 전주기 지원’ 방안을 5일 국정현안조정회의를 통해 발표했다.
우리나라는 화장품 수출액이 2014년부터 연평균 34.9% 증가해 지난해 63억달러를 돌파, 세계 4위로 올라섰다. 그러나 최대 수출국인 중국의 현지 기업 약진이 두드러지고 원천기술 부족, 높은 해외 원료 의존도 등으로 안정적인 성장이 어려운 실정이라고 복지부는 진단했다.
이에 정부는 그동안 개별부처 단위로 화장품산업을 지원하던 것을 범정부 차원에서 유기적으로 연계해 화장품 원료 개발부터 수출에 이르기까지 산업 전주기를 관리하기로 했다. 이를 기반으로 오는 2022년까지 수출액 79억달러를 달성, 세계 3위로 올라서고 관련 일자리 7만3000여개를 신규 창출한다.
우선 수입 의존도가 높은 계면활성제나 자외선차단소재 등 기초소재를 국산화한다. 이를 통해 지난해 23.5%에 달했던 일본 원료수입 비중을 2022년 18%까지 낮출 계획이다.
국가별 맞춤형 화장품도 개발한다. 국가와 지역별로 선호하는 천연물, 종교·문화·기후 등을 고려한 수출국 맞춤형 소재와 제형을 만든다. 베트남이나 인도네시아와 같은 신남방지역 기후에 적합한 오일프리(Oil-Free) 제품을 개발해 해당 국가에 집중 공급하는 식이다.
화장품의 원활한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각종 규제도 완화한다. 제조자 표기의무를 삭제하고 지식재산권 침해대응 강화 등을 통해 중소기업 브랜드의 경쟁력을 높인다. 제조자 표기의무로 인해 해외기업에 제조자 정보가 공개돼 유사제품이 증가하고 중소 브랜드기업의 경쟁력이 약화하는 걸 막기 위해서다.
이른바 ‘짝퉁’ 화장품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 베트남, 필리핀 등에서 한류에 편승해 가짜 한국 화장품을 판매하는 무무소나 아이라휘와 같은 기업에 법인해산 명령을 하고 연간 2회 현지 실태조사도 벌인다.
개인별 피부 진단을 통해 고객 맞춤형 화장품을 제조하는 ‘맞춤형화장품 제도’를 세계 최초로 시행한다. 피부 특성을 측정한 뒤 데이터를 분석해 피부를 진단하고 추천 원료에 대한 피부 알러지를 체크해 현장에서 제품을 제작하는 방식이다. 복지부는 이 과정에서 원료 혼합·소분 및 품질관리를 담당하는 ‘조제관리사’를 새로운 직군으로 만들어 일자리 5000개를 창출한다.
박능후 복지부 장관은 “K-뷰티가 가진 혁신성에 기술력을 더해 한류와의 연계를 통한 브랜드 경쟁력을 강화하고 신시장을 개척한다면 세계 3대 화장품 강국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