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이른바 ‘백원우 별동대’에서 활동한 것으로 알려진 검찰수사관 A씨의 휴대전화에 대해 압수수색을 신청할 방침이다. 검찰이 A수사관 사망 직후 압수해 간 휴대전화를 이렇게라도 확보해 사망 경위를 규명하겠다는 게 경찰 입장이다.
경찰 관계자는 4일 “A씨가 사망에 이르게 된 경위를 밝히는 건 경찰 몫이고 이를 위해선 A씨의 최근 통화내역 확보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통화내역을 확인하려면 압수수색 영장을 신청할 수밖에 없다는 게 내부 판단”이라며 “이런 경우는 매우 이례적이라 어떤 방식으로 진행할지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검찰은 지난 2일 A수사관 사망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 서초경찰서를 압수수색해 A수사관 휴대전화를 확보, 대검찰청 포렌식센터에 분석 작업을 맡겼다. 경찰은 이날 피압수자 자격으로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 수사관 등을 보내 분석 과정을 참관했다.
문제는 검찰이 A수사관 휴대전화를 복구해 통화내역 등을 확보하더라도 이를 경찰과 공유할 수 없다는 데 있다. 검찰은 법원이 발부한 영장에 압수 대상물로 적시된 ‘울산경찰청장의 권리행사 방해 및 직권 남용’에 관한 데이터만 확보할 수 있다.
수사기관이 수사 도중 별건 수사 단서를 포착해 재판에 증거로 제출했지만 인정이 안 된 판례가 있어 경찰은 별도의 영장 발부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경찰이 수사하는 A수사관 사망 경위는 검찰이 주력하는 하명수사 의혹 규명과는 갈래가 다르다. 일각에서는 “경찰이 신청한 영장을 검찰이 청구해주겠냐”는 말도 나오고 있다.
A수사관 휴대전화는 아이폰 기종으로 6자리 숫자 비밀번호로 잠금을 풀게 돼 있다. 검찰은 최근 이스라엘 정보기관이 쓰는 포렌식 장비를 도입했지만 잠금 설정을 푸는 데 적잖은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비밀번호를 여러번 잘못 입력하면 재입력까지 수십분을 기다려야 하거나 데이터가 초기화되도록 설정돼 있다. 아이폰의 잠금 설정은 미 연방수사국(FBI)도 제조업체인 애플의 도움 없이는 못 풀 만큼 강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경찰은 검찰이 압수해간 A수사관 메모 등을 돌려받아 장례를 마친 가족들에게 전달했다.
방극렬 기자 extre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