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美상무장관 “車관세 배제 안해”…25% 고율관세 압박

입력 2019-12-04 08:24 수정 2019-12-04 08:32
현대자동차 2019 LA오토쇼. 현대자동차 제공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수입 자동차에 대한 고율 관세 가능성을 열어뒀다. 유럽연합(EU)과 일본산 차량이 타깃으로 분석되지만 한국 자동차업계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윌버 로스 미국 상무장관은 3일(현지시간) 자동차 관세와 관련, “개별 기업들과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우리가 그로부터 매우 좋은 이익을 일부 거뒀다”며 “(앞으로 협상 결과에 따라) 관세 필요성이 있을 수도 혹은 없을 수도 있다”고 로이터통신에 밝혔다.

로스 장관의 언급은 다소 원론적인 발언이기는 하지만, 고율 관세 카드를 지렛대로 협상 대상 국가들에 대한 압박을 이어가겠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앞서 미국은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일본, 유럽연합(EU), 한국 등 외국산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에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한다는 계획을 추진해왔다. 무역확장법 232조는 외국산 수입 제품이 미국의 국가안보를 위협한다고 판단되면 긴급하게 수입을 제한하거나 고율의 관세를 매길 수 있도록 한 조항이다.

당초 미국은 지난 5월 17일 결정을 내릴 계획이었지만,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 명의의 포고문을 통해 해당 결정을 180일 연기했다. 180일 시한은 지난달 13일로 만료됐지만, 현재까지 부과 여부에 대한 결정은 내려지지 않았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포고문에서 한국산 차량을 직접 거론하지는 않았지만, 관세 결정을 유예한 이유로 “재협상이 이뤄진 한미 협정, 최근에 서명한 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USMCA)도 고려했다”고 설명한 바 있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